-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여성 이슈에 대한 피로감, 어떻게 극복할 수 있나요?
2977
편집자주|본지는 1616호부터 1620호까지 학보메이트로부터 직접 여성학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그에 대한 답변을 본교 전문가 선생님들로부터 들어보는 칼럼 코너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를 운영해 독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습니다. 이에 1638호부터 1642호까지 코너를 확대 및 재연재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여성학과 관련된 학우들의 궁금증을 넘어 일상적인 고민 기반의 사연까지 폭넓게 답변을 들어봅니다. 다섯 번째 질문예전에는 여성 관련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즐겼지만 최근에는 관련 논의에 피로감을 느껴 비슷한
학술·연구
이은아 여성학과 교수
2022.05.29 13:49
-
-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여성학은 어떤 학문인가요?
8371
편집자주|본지는 1616호부터 1620호까지 학보메이트로부터 직접 여성학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그에 대한 답변을 본교 전문가 선생님들로부터 들어보는 칼럼 코너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를 운영해 독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습니다. 이에 1638호부터 1642호까지 코너를 확대 및 재연재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여성학과 관련된 학우들의 궁금증을 넘어 일상적인 고민 기반의 사연까지 폭넓게 답변을 들어봅니다. 세 번째 질문여성학은 무엇을 다루는 학문이며, 처음 여성학을 접하는 사람은 여성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알아가야 하
학술·연구
김혜빈 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원
2022.05.16 00:39
-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여성가족부 폐지론은 왜 페미니즘 이슈인가요?
4223
편집자주|본지는 1616호부터 1620호까지 학보메이트로부터 직접 여성학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그에 대한 답변을 본교 전문가 선생님들로부터 들어보는 칼럼 코너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를 운영해 독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호응을 이끌어낸 바 있습니다. 이에 1638호부터 1642호까지 코너를 확대 및 재연재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여성학과 관련된 학우들의 궁금증을 넘어 일상적인 고민 기반의 사연까지 폭넓게 답변을 들어봅니다. 두 번째 질문새 정부의 대선 공약이었던 ‘여성가족부 폐지’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뜨거웠다. 현재 여성가족부는 존치
학술·연구
백미록 여성학과 박사과정
2022.05.08 02:41
-
-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왜 사람들은 페미니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나요?
6508
편집자주|‘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는 본교 여성학 전문가들이 학생의 질문에 답하는 칼럼 코너입니다. 이대학보 온라인 패널단 학보메이트에게 페미니즘과 관련해 묻고 싶은 질문을 받아, 그중 5개의 질문을 꼽았습니다. 이번 호가 마지막 연재입니다. 5번째 질문최근 한국 사회에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을 악으로 규정하고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어떤 이유로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겨났는가? 인식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온라인 공간에서 일어나는 페미니즘에 대한 공격과 비난은 최근
학술·연구
김선혜 여성학과 교수
2021.05.23 14:30
-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페미니스트라면 탈코르셋을 해야 하나요?
4524
편집자주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는 본교 여성학 전문가들이 학생의 질문에 답하는 칼럼 코너입니다. 이대학보 온라인 패널단 학보메이트에게 페미니즘과 관련해 묻고 싶은 질문을 받아, 그중 5개의 질문을 꼽았습니다.네 번째 질문페미니스트라면 탈코르셋을 해야 하나? 여성의 권리를 지지하지만 화장을 하고 코르셋을 버리지 않는다면 페미니스트가 아닌 건지 궁금하다. 코르셋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시몬 드 보부아르의 에서 언급된 해당 구절은 페미니즘의 명제처럼 여겨진다. 여성이
학술·연구
김미현 여성학과 박사과정
2021.05.15 20:49
-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 여성만이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나요?
3176
편집자주 |‘똑똑, 여성학에 묻습니다’는 본교 여성학 전문가들이 학생의 질문에 답하는 칼럼 코너입니다. 이대학보 온라인 패널단 학보메이트에게 페미니즘과 관련해 묻고 싶은 질문을 받아, 그중 5개의 질문을 꼽았습니다. 1620호까지 연재됩니다. 세 번째 질문여성만이 진정한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생물학적 남성이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나? 또 여성을 비하하는 단어들에 미러링으로 등장한 ‘한남’ 등의 단어 사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페미니즘은 여성들만의 운동이고 인식론이고 여성만이 진정한 페미니스트가 될
학술·연구
고병진 여성학과 박사과정
2021.05.10 10: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