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상옥’이 자신의 삶을 찾으러 호주로 떠나는 딸 ‘채영’을 끌어안는다. 상옥은 채영과 헤어지기 전 울면서 말한다.

 

아프지 말라는 말 듣기 싫지? 그래도…아프지 마.

섭식장애에서 벗어나고자 사투를 벌이는 채영이 가장 듣기 싫었던 말이다.

10월25일 개봉한 다큐멘터리 ‘두 사람을 위한 식탁’은 섭식 장애를 겪는 딸 박채영씨와 엄마 박상옥씨의 이야기다. 영화는 채영씨가 섭식 장애와 싸우며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과, 사랑하지만 서로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평행선에 있는 모녀의 이야기를 다룬다. 모녀가 나누는 솔직한 대화에서 두 사람 사이의 애정, 미움, 욕심, 미안함 등 모녀 사이에서 느끼는 날것의 감정이 그대로 드러난다. 28일 아트하우스 모모 대기실에서 다큐멘터리를 만든 김보람 감독을 만났다.

 

섭식 장애를 겪는 박채영씨와 엄마 박상옥씨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두 사람을 위한 식탁‘을 만든 김보람 감독. <strong>이승현 사진기자
섭식 장애를 겪는 박채영씨와 엄마 박상옥씨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두 사람을 위한 식탁‘을 만든 김보람 감독. 이승현 사진기자

 

‘섭식 장애’에서 ‘두 모녀’의 이야기까지

두 사람을 위한 식탁은 몸에 대한 김 감독의 관심에서 시작됐다. 김 감독은 ‘피의 연대기’(2018)를 찍으며 몸과 마음이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느꼈다. 피의 연대기는 여러 시대와 문화에 걸친 월경의 역사와 생리컵, 탐폰 등 생리용품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마음이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에 관심을 가질 무렵, 김 감독은 모임에서 만난 플러스사이즈 모델 김지양씨의 이야기를 들었다. “한국에서 10대, 20대 여성의 섭식장애 진단률이 높아지고 있어요.” 섭식장애에 관심이 생긴 김 감독은 전문가와 섭식장애를 앓는 사람들을 만났다. 그는 인터뷰를 하며 부모와의 관계가 섭식 장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걸 알게 됐다. 김 감독은 “전문가들은 섭식 장애가 시작되는 걸 ‘미끄러진다’고 표현한다”며 “다이어트가 잘되지 않는 사람 중 섭식장애로 ‘미끄러지는’ 사람들은 가족관계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가설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가 인터뷰했던 15~20명의 사람들 모두 섭식 장애를 겪게 된 원인으로 부모와의 관계를 꼽았다.

그러던 중 영화의 주인공 상옥씨를 만났다. 김 감독이 상옥씨가 일하는 대안학교에 ‘피의 연대기’ ◆지브이를 하러 방문한 게 계기였다. 섭식장애를 겪고 있는 딸 채영씨를 둔 상옥씨가 먼저 김 감독에게 말을 건넸다. 김 감독은 “섭식 장애가 부모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을 즈음 두 사람을 알게 됐다”며 “두 사람의 솔직하고 깊은 대화를 듣게 됐다”고 말했다. 그렇게 김 감독은 섭식장애라는 큰 주제에서 두 사람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엄마와 딸, 우리는 평행선일까?

영화는 오랫동안 섭식장애를 겪은 채영씨의 ‘분투기’를 담았다. 영화에서 “왜 밥을 먹지 않았냐”는 상옥씨의 물음에 채영씨는 “나를 지키려고 열심히 산 거야”라고 답한다. 대안학교에서 사감으로 근무하던 엄마 상옥씨는 일에 최선을 다했고, 딸 채영씨는 엄마의 사랑이 고팠다. 극중 채영씨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일은 ‘먹을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이 유일했다. 김 감독은 “섭식장애는 외모, 다이어트 강박 때문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며 “스스로를 지키려고 했다는 채영씨의 이야기를 섭식장애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해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섭식장애에서 시작한 얘기지만 그 끝에는 두 모녀의 이야기가 있다. 영화 마지막에 나오는 삽입곡 ‘양’에는 “어리석은 사랑을 꺼내보이겠어요”라는 가사가 나온다. 김 감독이 본 두 모녀의 사랑은 ‘어리석은 사랑’이다. 보통 엄마들의 사랑은 어리석거든요. 부모로 서 해줘야 하는 건 그냥 지켜보며 지지해주는 건데, 대부분은 그러지 못하시죠.”

자신의 삶을 살아보고자 채영씨가 호주로 떠나는 날, 상옥씨는 딸 채영씨를 안고 묻는다. “아프지 말라는 말 듣기 싫지? 그래도 아프지마. 아프지만 마.” 먹지 않는 것이 스스로를 위한 투쟁이던, 섭식 장애와 끊임없이 싸워 온 딸이 가장 듣기 싫다는 말을 떠나는 순간에 하고야 마는 엄마. 하지만 엄마로서 딸에게 해줄 말은 “아프지 말라”는 말뿐이다. 김 감독은 “아프지 말라는 말을 끝까지 참지 못한 부모의 어리석은 사랑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물론 아닌 사람도 있겠지만 부모와 자녀의 사랑은 늘 쉽지 않고, 자식이 원하는 것과 부모가 원하는 것은 항상 어긋나요. 엄마 입장에서는 애가 아픈데 아프지 말라는 말밖에 사실 할 말이 없거든요. 근데 딸 입장에서 때로는 그 말이 죽기보다 싫어요. 그래서 평행선 같은 두 모녀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어요. 서로를 사랑하지만 이해할 수 없는 관계요.”

 

여성 감독이 만드는 여성 다큐멘터리

김 감독은 주로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다큐멘터리를 만든다. 많은 사람이 함께 만들어가는 극 영화보다 소수의 사람이 만드는 다큐멘터리가 더 잘 맞았고, 여성이기 때문에 여성들의 이야기에 자연스레 관심이 갔다. 그는 “독립영화 중에서도 다큐멘터리는 비주류 장르고 여성을 다룬 건 더 비주류”라고 말했다. 이러다 보니 상업영화만큼 이익을 남기기도 어렵다. 그는 “2016년부터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한 번도 영화로 돈을 벌어본 적이 없다”며 “빚을 져 영화를 찍거나, 지원금을 받아 영화를 만들어도 촬영하는 동안 저의 인건비는 나오지 않는 것이니 돈을 못 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수익이 나지 않는 일을 계속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는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게) 괴로워 드라마 쪽으로 넘어가야 하나 별생각을 다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일을 계속한다. “돈을 번다고 행복한 것 같지는 않아요. 남들이 볼 때는 바보 같아도 스스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해야 진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원하는 일을 하며 고통을 느끼더라도 그 고통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가 “사회에서 요구하는 것에 신경쓰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하게 된 데는 영화계 선배 변영주 감독의 조언도 있었다. “너 영화 잘 안될 거야. 근데 그냥 좋은 관객들 만난다는 즐거움으로 개봉하면 돼.” 그는 변 감독의 말을 듣고 “잘 봤다”, “인상깊었다”는 관객들의 말을 다시 되새겼다. 그는 “내가 만든 영화로 위로를 받은 사람이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해진 게 없는’ 감독이다. 김 감독은 “다큐를 하면서 많은 사람을 만나며 깨닫고 공부하는 것, 시작해서 마무리될 때까지의 과정에 쾌감이 있다”며 “다음에는 또 다른 새로운 형식에 도전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 지브이(GV): 감독과 배우가 관객과 함께 영화를 보고 대화를 나누는 무대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