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위드 캠퍼스: 나의 코로나19 대학생활 수기 공모전' 1등 수상작

편집자주|비대면 대학생활은 어느덧 과거가 됐다. 그러나 그 시간 겪었던 경험만큼은 그대로 우리의 몸과 기억에 새겨졌다. 이화역사관과 이화미디어센터는 코로나와 함께했던 경험의 의미를 돌아보고 되새겨보자는 의미로 ‘위드 코로나, 위드캠퍼 스: 나의 코로나19 대학생활 수기 공모전’을 진행했다. 3월20일부터 4월7일까지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코로나와 대학생활’, ‘코로나학번’, ‘비대면’을 소재로 한 39편의 수기가 접수됐다. 수상자는 8명으로 ▲1등 정은영(커미·21) ▲2등 강채원(국교·20), 김민형(휴기바·20) ▲3등 김민지(사교·20) 김수연(사교·22) 김찬영(통계·19) 윤다빈(화학·21) 이보연(뇌인지·20)씨다. 본교 구성원이 코로나19 대학생활의 경험을 나누고 반추하며 그 속에서 나름의 의미를 찾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정은영(커미·21)
정은영(커미·21)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마스크에 익숙해진 만큼 비대면 수업에도 익숙해졌다. 대면 수업이 곤란하던 시절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은 ‘줌’에 도가 트였다. 나 역시 대학 입학 후 세 학기에 걸쳐 줌 수업을 들은 덕에, 내가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 설정을 능숙하게 변경할 정도의 여유가 생겼다. 줌에는 유용한 기능이 많다. 예컨대 줌에서는 현재 발언 중인 사람만을 비춰 주는 ‘발표자 보기’ 상태와 여러 참여자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갤러리 보기’ 상태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교수님만 주로 말씀하시는 강의에서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볼 필요가 없으므로 ‘발표자 보기’가 적합하지만, 참여자 간 의견 교환이 활발한 수업에는 ‘갤러리 보기’가 더 적합하다. 참여형 수업을 여러 개 듣던 학기에는 자연스레 ‘갤러리 보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가로세로로 나란히 정렬된 화면 속에 자리 잡은 학우들을 보고 있자니 이곳이 강의실보다는 한 채의 아파트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줌 화면에 표시되는 인원을 최대로 조정하면 7행 7열이 된다. 그러니까 한 층에 일곱 명씩 사는 7층짜리 아파트가 되는 것이다. 집마다 문패도 붙어 있다. 내 학번 마지막 세 자리가 351이니, 우리 집은 351호라고 치자. 그렇다면 내 옆집은 352호인가? 꼭 그렇다는 법은 없다. 어쩌면 016 정도로 한참 멀리 떨어진 번호일 수도 있다. 그만큼 이웃집은 멀게 느껴진다. 강의실에서 직접 얼굴을 마주해도 친해지기 어려운 마당에, 온라인 환경에서 이웃집 문을 두드리기가 쉬울 리 없다.

그래서 줌 아파트 입주자들은 이웃과 만나는 대신, 저마다의 공간을 꾸미는 데에 열중한다. 그들이 추구하는 인테리어는 제각각이다. 정직하게 자기 방을 그대로 비추는 사람이 있는 한편, 가상 배경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이 가상 배경 역시 줌에 내장된 기본 이미지부터 좋아하는 연예인의 방 사진까지 각양각색이다. 이런 줌 아파트의 전면을 보고 있으면 영화 ‘이창’의 주인공이 된 듯한 기분이 된다. 다리를 깁스하여 몇 주간 집에만 있게 된 ‘이창’의 주인공은 온종일 창문을 통해 이웃집 사람들의 일상을 훔쳐본다. 개인적으로 ‘이창’ 속 주인공이 집착적일 정도로 남을 관찰하는 것에서 별로 호감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나도 남의 화면에 신경을 쓰지 않으려 애썼다. 동시에 누군가가 나를 보고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긴장하며 자세를 고쳐 앉은 적도 여러 번이다. 마음 편하게 커튼이라도 치고 싶었다.

일러스트=고경민 이화미디어센터 디자인조교
일러스트=고경민 이화미디어센터 디자인조교

고맙게도, 줌 아파트에는 훌륭한 커튼이 있다. 카메라를 끔으로써 쳐지는 암막 커튼이다. 필수로 얼굴을 보여야 하는 수업에서는 거의 모두가 카메라를 켜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수업에서는 역시나 꺼진 화면이 더 많이 보인다. 교수님들이 꼭 허공에 대고 수업하는 것 같으니 제발 얼굴 좀 보여 달라고 말씀하실 정도이다. 하지만 이웃 사이를 가로막는 것은 어디까지나 커튼이지, 철문은 아니다. 수업 중 팀 활동을 하며 인사를 나누고, 짧게나마 의견을 주고받다 보면 자연스럽게 분위기는 말랑말랑해진다. 즉 이웃 간 교류는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 또, 오로지 팀 활동을 할 때만 사람들이 마음을 여는 것도 아니다. 누군가가 채팅 창에 질문을 하면 너도나도 나서서 대답해 주는 모습에서 그들의 의리가 드러난다. 간혹 누군가가 강의실에 늦게 접속해서 출석 체크용 인증번호를 물어볼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여러 명이 경쟁하듯 채팅 창으로 몰려와 번호를 알려주곤 한다. 어쩌면 줌 아파트는 약간의 어색함이 감돌 뿐 실제 아파트보다 훨씬 따뜻한 곳일지도 모른다.

한편 실제 아파트에서 그대로 옮겨 온 듯한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소음이다. 사실 비대면 수업에서 남의 집 강아지 소리까지 듣게 될 줄은 몰랐다. 깜빡하고 마이크를 켜 두는 실수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리고 강아지도 마침 그때 주인이 수업을 듣는 줄 모르고 짖었을 테니, 어쩔 수 없다. 하지만 마이크를 켠 채 누군가와 수다 떠는 소리를 생중계로 접한 날에는 정말 많은 생각이 들었다. 아파트는 그 어떤 주거 형태보다도 공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웃에게 소음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은 그 중 기본이다. 아무래도 줌 아파트에는 아직 그런 노력이 조금 더 필요한 듯하다.

‘아파트’와 ‘비대면 수업’이라는 키워드는 언뜻 보기에 굉장히 동떨어져 있다. 그럼에도 비대면 수업을 아파트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결국 사람이 여럿 모인 곳에는 어떠한 공통된 철학이 적용된다는 생각에 힘을 실어 준다. 고작해야 하루에 몇 시간인 비대면 수업 속에서도 사람들은 아파트에 살듯이 각자의 공간에 개성을 불어넣고, 이웃을 돕고, 가끔은 이웃을 언짢게 만들기도 한다. 솔직히 말해 비대면 수업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모든 경험에는 의미가 있다고들 한다. 이런 때가 아니면 언제 ‘줌 아파트’에 살아보고, 그 거주 예절을 배우겠는가? 지난 몇 학기 동안의 비대면 수업은 확실히 희귀한 경험으로 남았다.

정은영(커미·21)

 

수상소감

생각지도 못한 입상 소식에 놀랐습니다. 그것도 1등이라니, 그저 영광스럽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비대면 수업 기간은 저에게 침체기이기도 했고, 다소 흐지부지 끝난 감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공모전을 계기로 저는 그 기간을 다시 한번 돌아보았고, 이제야 제대로 마침표를 찍은 느낌이 듭니다. 뜬금없는 상상에서 비롯된 글이지만 모쪼록 재미있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