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위드 캠퍼스: 나의 코로나19 대학생활 수기 공모전' 2등 수상작

편집자주|비대면 대학생활은 어느덧 과거가 됐다. 그러나 그 시간 겪었던 경험만큼은 그대로 우리의 몸과 기억에 새겨졌다. 이화역사관과 이화미디어센터는 코로나와 함께했던 경험의 의미를 돌아보고 되새겨보자는 의미로 ‘위드 코로나, 위드캠퍼스: 나의 코로나19 대학생활 수기 공모전’을 진행했다. 3월20일부터 4월7일까지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코로나와 대학생활’, ‘코로나학번’, ‘비대면’을 소재로 한 39편의 수기가 접수됐다. 수상자는 8명으로 ▲1등 정은영(커미·21) ▲2등 강채원(국교·20), 김민형(휴기바·20) ▲3등 김민지(사교·20) 김수연(사교·22) 김찬영(통계·19) 윤다빈(화학·21) 이보연(뇌인지·20)씨다. 본교 구성원이 코로나19 대학생활의 경험을 나누고 반추하며 그 속에서 나름의 의미를 찾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강채원(국교·20)
강채원(국교·20)

연기, 연기, 연기. 그리고 끝내는 취소, 취소, 취소. 차라리 이 상황이 2시간짜리 영화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질리도록 들었던 연기 실컷 하고 끝내버리게. 그러나 안타깝게도 나는 현실을 살고 있었다. ‘정말 실감 났어, 진짜라면 무서웠을 정도로.’ 이런 감상평을 남기며 잊어버릴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그렇게 19년 인생 가장 긴 방학을 맞이했다. 처음에는 좋았다. 이렇게 쉬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그러나 갈수록 무기력해졌다. 시간표대로 정해진 삶에 바삐 살아가던 것에 비하면 무서울 정도로 고요한 일상이었다. ‘학과, 아니 단과대 최고 인싸가 되겠어!’라고 기고만장하게 외치던 몇 달 전의 나는 온데간데없고, 노트북 화면 너머로 만난 동기들에게 겨우 몇 마디 어색하게 쭈뼛대는 나만 남아있었다. 이런 게 대학 생활일까?

나는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교정을 상상했다. 그마저도 아는 게 없어 빈약한 상상이었다. 입시를 막 끝낸 대학 입학 예정자에게 아무도 꾸중하는 사람은 없었다. 난 오히려 그 사실이 불편했다. 온종일 누워있으면 잔소리를 듣거나, 어디를 가든 움직여야 했던 과거와 비교했다. 어른이 된다는 건 이런 거구나. 어쩌면 처음으로 마주한 자유다운 자유를 일구는 것도 온전히 나의 몫이구나. 시간표를 OT 없이 혼자 힘으로 짜야 했을 때 다시금 깨달았다. 내가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를 책임져야 하는 것도 나구나. 1순위 필수 교양을 놓쳐 절망하며 얻은 깨달음이었다.

입학 선물로 부모님이 사주신 노트북은 매일 쉴 틈이 없었다. 나는 시간 날 때마다 학교 홈페이지를 들락날락하며 정보를 수집했다. 복수 전공은 뭘 하면 좋을까. 장학금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커리큘럼은 어떻게 보는 거지. 나중에는 학교 커뮤니티에서 이것저것 물어보는 글에 답을 할 수 있을 정도였다. 바깥을 마음대로 돌아다니기는 어려웠으나 시공간 제약이 없는 인터넷 세상은 내 마음대로 유영할 수 있었다.

갑작스러운 전염병 사태가 2시간짜리 영화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허무할 만큼, 2년을 넘게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그만큼 기술과 문화가 급변했다.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나의 전공 교육 분야도 그 흐름을 피할 수는 없었다. 어쩌면 변화가 가장 필요한 곳이었을지도. 이미 비대면 상황에 익숙해진 나는 전공 강의에서 다뤄지는 AI 융합 교육 방안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 경험에서 비롯된 습관이었다.

나는 기나긴 사이버 캠퍼스 생활로 갖가지 사이트에서 필요한 기사, 논문, 책, 영상을 찾을 수 있었고 융합하고 싶은 기술이나 사이트를 덧붙이는 일도 할 수 있게 됐다. 이것은 나뿐만 아니라 차세대 교육 분야, 기술, 문화, 예술, 과학, 인문, 그 모든 영역을 선도할 코로나 학번을 위한 꼭 필요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졸업할 때까지 만들 수 없을 것 같았던 친구들도 사귀었다. 줌의 작은 화면으로만 만나던 동기들과 흡사 갓 초등학교 입학했을 때와 같이 어색하게 대면하여 인사 나눴던 것이 얼마 되지 않았으나, 함께하지 못한 시간 속에서도 우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마음을 나누었다. 어느새 졸업을 앞둔 우리는 벌써 헤어짐을 이야기하지만 그런 것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는 상황이 얼추 누그러진 지금도 팀별 과제를 하면서 혹은 만나기 힘들 때 비대면 화상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능숙하면서도 당연하게. 만날 수 없을 때도 만나는 방법을 아니까. 우리는 시공간을 공유하지 않을 때 마음을 나누는 법과 그 농도가 대면일 때와 다를 것이라는 불안은 쓸모없다는 것을 안다. 꼭 만나야지만 전달되는 애정 이외의 것에도 기민하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더는 주어진 상황을 관전하고만 있지 않다. 무엇이든 집중해서 알아내고, 찾아내고, 즐길 수 있다. 비대면의 시간 동안 타인의 방해 없이 나만의 고요했던 공간 속에서 나에 대해 알아갈 수 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고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온전히 탐구할 수 있었다. 내가 주인공인 영화를 비로소 직접 써 내려갈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 삶의 주체인 내가 행해야지만 일어나는 변수들, 여전히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휩쓸리지 않고 중심을 잡는 방법,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가짜와 진짜를 구별하는 법, 가끔은 아무 생각 없이 즐겁게 놀 수 있는 장소,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 평면 세계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비법…. 수없이 많은 영화의 주제가 지루할 틈 없이 기다리고 있다.

그래서 코로나 학번은 사이버 캠퍼스의 꿈을 꾸냐, 묻는다면. 꾼다. 늦잠을 자서 줌에 허겁지겁 접속하는 꿈을 여전히 꾼다. 인터넷 접속이 불안정하여 퀴즈를 풀지 못해 진땀을 뺐던 일도, 아슬아슬하게 제출한 과제 기한의 남은 시간을 보고 한숨 돌렸던 일도, 교수님의 따뜻했던 공지도, 토론 게시판에서 주고받던 이야기들도, 기분에 따라 가상 배경을 바꾸던 일도 여전히 꾼다.

그러나 실물 캠퍼스의 꿈도 꾼다. 곳곳에 핀 꽃들을 쫓아 동기들과 사진 찍는 것도, 과방 소파에 늘어져 누워있던 것도, 과제를 하기 위해 중앙 도서관을 이리저리 누볐던 것도, 후배와의 약속을 위해 식당을 찾아본 것에 대해서도 꾼다.

그만큼 인공지능과 지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메타버스와 현실에 맞게 놀 수 있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아쉬워하면서도 아낄 수 있게 됐다. 그래서 결국에는 동정과 연민을 받던 코로나 학번이 세상을 바꿀 것을 꿈꾼다. 이것은 내가 사랑하는 그 모든 이화의 캠퍼스에서 배운 것이다.

강채원(국교·20)

 

수상소감

첫 도전에 좋은 성과를 얻게 돼 참 기쁩니다. 얼마 전 갑작스러운 노트북 고장으로 예상치 못한 지출이 컸습니다. 어떤 행운이 찾아오길래 멀쩡하던 노트북이 망가지나 했는데 이 소식을 듣기 위해서였나 봅니다. 부족한 글을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글을 읽어 주신 모든 분이 늘 건강하고, 자주 행복하고, 항상 맛있는 잠에 들 수 있길 바랄게요. 지난한 시간을 한층 즐겁게 견딜 수 있도록 해준 엔시티 마크님에게도 특별히 감사를 전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좋아해요.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