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사이에서 캠퍼스 내 건물의 경비 인원 감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학관이 9월 개관한 후 학관, 인문관, 후문 지역에 배치된 경비원이 6명에서 3명으로 줄었다. 대신 본교는 학관과 인문관에 CCTV 추가 설치하고 모션 감지 시스템을 도입했다. 본교는 기계 경비를 늘리고 인력 경비의 의존성을 줄이는 통합경비 시스템을 강화하는 추세다.

정문 앞에서 경비 인원 감축 규탄 시위를 하고 있는 노학연대모임 바위. <strong>김아름빛 기자
정문 앞에서 경비 인원 감축 규탄 시위를 하고 있는 노학연대모임 바위. 김아름빛 기자

 

노동자 해고 없었지만 안전 우려 여전해

학생들의 우려는 노학연대모임 ‘바위’가 경비 노동자 감축을 규탄하며 시작됐다. 7월11일 게재된 바위 대자보에는 ▲경비 인원 CCTV 대체 통보 철회 ▲경비노동자 인원 감축 시도 규탄 ▲노동자-학생-학교 3자 면담 자리 마련 세 가지 요구안이 담겼다. 7월11일 학생문화관(학문관)에 게시한 대자보를 시작으로 바위는 7월, 9월에 1주씩 총 2주간  피켓팅 시위를 진행했다.

9월5일 변경된 대자보 속 요구안에는 경비 노동자 인원 감축 규탄 내용이 삭제됐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이화여대분회(노조)가 본교와 합의를 보며 문제가 일단락됐기 때문이다. 노조 김종극 부 분회장은 “앞으로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 사람을 더 투입하겠다는 (학교 측) 제시를 수용했다”고 말했다. 총무팀은 학관 지역 경비 인원이 줄어드는 과정에서 “노동자 해고는 없었다”고 말했다.

노동자 해고 우려는 해소됐지만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바위는 노조와 본교 합의 이후에도 통합경비시스템에 문제를 제기했다. 경비원이 줄면 모든 CCTV를 제대로 감시할 수 없으며, 순찰 횟수가 감소해 안전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다. 현 인문관, 학관, 후문 지역의 경비 인원 3명은 3교대로, 3개 지역의 경비를 1명이 담당한다. 9월8일에는 7~9월 세 달간 모은 본교 학생 1043명의 연대 서명을 총장실과 총무처 총무팀(총무팀)에 전달했다.

본교에서 2021년 6월까지 경비원으로 근무했던 김 부 분회장은 건물 내 경비 초소가 비어있으면 출입하는 외부인을 즉시 통제할 수 없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김 부 분회장은 “재학생 대부분이 여성”이라며 “(경비원이 초소에 상주할 때) 바로 들어가지 않고 쭈뼛거리는 수상한 남성이나 배달원을 주시하며 외부인이면 출입을 통제한다”고 말했다. 그는 각 건물에 경비원이 상주하지 않으면 이러한 관리가 어렵다는 우려를 표했다.

이에 총무팀은 눈에 보이는 인력은 줄어도 경비는 약화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총무팀 선윤정 팀장은 “종합상황실에 근무하는 분들도 CCTV를 함께 감시하고 언제든 출동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캠퍼스 폴리스 안종민 매니저는 “순찰을 하는 층과 다른 층에서 사고가 나는 등 인력 경비가 대처할 수 없는 부분을 메워주는 게 기계 경비”라고 설명했다. 본교에는 통합경비시스템이 일부 도입돼 있다. 건물 출입구에는 카드 태깅 기계가 설치돼 있다. 관마다 설치된 CCTV를 ECC 종합상황실에서 지켜보고, 위험한 모습을 포착하거나 신고가 들어오면 캠퍼스 폴리스가 출동한다.

대학들도 통합경비시스템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교내 경비 업체 에스원 이광철 실장은 “통합 경비 시스템은 경비 체계의 전반적인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대는 2017년 1월부터 통합경비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도입했다. <대학신문> 2065호에 따르면 서울대는 해동학술문화관에 위치한 종합상황실에서 CCTV를 통해 캠퍼스를 감시하고, 안전 문제가 발생하면 출동한다. 서울대는 통합경비시스템을 도입하며 건물에 상주하는 경비원 수를 축소했다. <연세춘추> (2018년 9월30일자)에 따르면 연세대는 2015년부터 통합경비시스템을 구축했고, 경비 인원을 추가 채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경비 인력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자리가 비어 있는 후문 경비 초소에 순찰을 간 경비원의 자리가 비워져 있다. <strong>김아름빛 기자
자리가 비어 있는 후문 경비 초소에 순찰을 간 경비원의 자리가 비워져 있다. 김아름빛 기자

 

본교 안전 정책, 학생과 대화 필요하다

학생들은 학관의 경비원 수가 줄어든 것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김서정(교육⋅23)씨는 경비원이 사라지면 보호받고 있다는 안정감이 사라진다는 의견이다. 김씨는 “등교하면서 경비원 분들을 항상 마주친다”며 “이렇게 경비원을 직접 마주보고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에 기계 경비 도입과 상관없이 경비원 수가 줄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경비원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다. 박예린(서양화⋅23)씨는 “정말 급할 때 CCTV가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황은서(간호⋅20)씨도 “기계로는 (경비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 경비원이 직접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CCTV 설치 증가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김씨는 “CCTV가 많아지면 실시간으로 개인적인 모습이 기록되기 때문에 감시받는 느낌이 들 것 같다”고 말했다.

바위는 첫 시위를 했던 7월 이후 3달이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학교와 학생 간 대화의 자리를 요구하고 있다. 교내 구성원인 학생이 교내 안전 정책의 당사자이므로 학생 의견을 듣는 것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바위 박서림 대표는 “학교 측에서 학생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있는 이유가 궁금하다”며 “학내 구성원의 우려가 안전하다고만 하며 소통 없이 (안전 정책을) 추진하면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은 누가 지는 것이냐”고 말했다. 박씨는 “(학교 안전 정책에 대해) 잘 몰랐다”며 “기계 경비를 늘리고 경비원을 줄이는 것이 맞는지, 어떻게 하는 게 옳은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