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10일, 학내 상업 시설이 일부 바뀌면서 이에 대해 반발하는 목소리가 생겨났다. 학교가 학교의 주인인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새로운 상업시설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이에 일부 학생들은 7월10일 ‘돈만 쌓는 이화여대에 맞선 대학생들의 도전’(실천단)이라는 이름의 단체를 결성하고 학교 측에 입찰정보 및 임대료 수입 등 상업시설에 관한 정보를 완전히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약 일주일에 걸쳐 서명운동을 진행했고, 866명의 서명을 요구안과 함께 재무처 처장에게 전달했다.

  7월31일, 실천단이 초기에 서명과 요구안을 전달하고자 했던 학생처에서 요구안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실천단이 요구안 전면 수용을 요구하면서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누구도 승자가 되지 못한 싸움이었다.

  일보전진을 위해서는 이보후퇴도 필요한 법이다. 총학생회와 같이 공식적인 기구도 아닌 실천단이 본교생 4.33%에 불과한 866명의 서명으로 학생처로부터 일정 부분이나마 요구안을 수용하게 했다는 것은 이미 충분히 좋은 성과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이러한 성과를 이뤄냈다는 점에서는 가히 박수를 주고 싶지만 요구 전면 수용만을 외치는 모습에서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다. 백점짜리 결과물을 기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절충 역시 때에 따라 중요한 미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 듯 보였다.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갈등이 아닌, 서로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에 그치는 갈등은, 제대로 물장구를 치지 못하는 헛발질에 불과하다. 우리 몸에 두 손이 있어야 제대로 손뼉을 칠 수 있듯, 학교와 학생의 호흡이 맞을 때 비로소 대학이 발전하는 법이다. 그리고 대학이라는 손뼉을 위해서는 학교와 학생 모두가 성숙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성숙한 학교와 학생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진정한 의미의 소통을 필요로 한다면, 상호가 처해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받아들이는 것이 급선무다. 서로를 비난하고 자신의 상처를 내밀기에 급급한 행동은 자신의 어려움을 들어달라고 마냥 떼를 쓰는 어린 아이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조금씩이나마 상대의 상황을 들여 보고자 노력한다면,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다란 시너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한치 앞에 놓인 상황에 답답해하지 말자. 학교와 학생 모두 소통이라는 성숙한 행동 아래 모두의 미래가 담긴 청사진을 찾길 희망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