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설문 기획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가 이틀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 4일(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지역별 후보들은 유권자들의 막판 표심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지는 지방선거를 맞아 지난 5월 말 선거권이 있는 본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투표 참여 의사 ▲청년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학번 높을수록 투표율도 높아 … 인물·정당 보다 정책·공약 보고 투표
 설문 결과, 본교생의 투표 참여 의사는 높았다. 전체 설문 응답자 중 약 83.3%(300명 중 250명)가 지방선거에서 투표할 의사를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그렇지 않다’와 ‘모르겠다’를 답한 학생은 각각 8%(24명), 약 8.6%(26명)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투표할 의사가 없는 학생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특히 투표 참여 의사는 저학년(13·14학번)보다 고학년(12학번 이상)에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학년에서 집계된 투표율은 약 88.3%(180명 중 159명)로 저학년에서 집계된 투표율 약 75.8%(120명 중 91명)보다 12.5%가량 높았다. 그중에서도 ‘11학번’의 투표 참여 의사는 90%(50명 중 45명)로 가장 높았다.

 투표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한 학생은 ‘정치적 관심의 부재(약 29.2%)’와 ‘지지하는 후보가 없음(약 29.2%)’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한국 정치에 대한 불신 때문’이란 응답도 12.5%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실거주지가 달라서’라는 응답이 있었다.

 후보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은 단연 ‘정책/공약’이었다. ‘이번 투표에서 후보자의 어떤 점을 가장 중요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약 40.7%(300명 중 122명)가 ‘정책/공약’을 꼽았다. 이어 24%가 ‘인물/능력’을, 약 16.3%가 ‘이념/성향’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 2명 중 1명은 청년 정책 중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으로 ‘청년 일자리’를 꼽았다. 특히 학번이 올라갈수록 ‘일자리’를 꼽은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14학번에서는 약 29.4%만이 해당 현안을 선택한 반면, ▲13학번(약 43.0%), ▲12학번(약 52.6%), ▲11학번(60%), 10학번 이상에서는 절반이 훌쩍 넘는 약 65.4%의 응답률을 보였다.

 ㄱ(국문·10)씨는 “졸업을 앞둔 상황에서 취업은 현실적인 고민”이라며 “나는 물론 취업 문제로 고민하는 동기들이 주변에 많아 청년 일자리 문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속히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등록금’ 문제 역시 학생들의 관심을 받았다. 전체 응답자 중 약 31.3%는 반값등록금을 시행하거나 국가장학금을 보다 더 확충하는 등의 등록금 지원 사업에 대한 해결을 촉구했다. ‘대학생 주거(약 8.3%)’와 ‘대학교육(약 7.7%)’은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본교생이 뚜렷이 선호하는 정당은 없었다. 전국구를 단위로 ‘가장 선호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에서 약 67.3%(300명 중 202명)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했다. 후보자 판단 기준에서 ‘소속 정당’을 보고 투표한다는 응답이 약 10%(300명 중 32명) 정도인 만큼 정당 선호도가 후보자를 판단하는데 큰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가장 시급한 건 ‘청년 일자리’ … 서울시장 각 후보별 표심 공약 달라
 전체 응답자 중 약 40.3%(300명 중 121명)는 ‘서울시장 후보가 가장 중점을 뒀으면 하는 청년정책’으로 ‘청년 일자리’를 꼽으며 전국 지역 설문조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그 뒤를 이어 ‘등록금(38%)’, ‘대학교육(12%)’이 자리했다.

 설문 결과, 가장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청년 관련 공약을 낸 정몽준, 박원순 두 후보의 유관 정책을 5개 분야로 나눈 뒤, 무기명으로 누구의 정책인지 가린 채 지지 여부를 확인했을 때, ▲청년 일자리 ▲통학 ▲문화 공약에서는 박 후보가, ▲등록금 ▲대학생 주거 부문에서는 정 후보의 공약이 우세했다.

 청년 일자리 관련 정책에서는 응답자의 약 71.3%(279명 중 199명)가 박 후보의 공약인 ‘표준이력서 채택 확대 및 서울시 공기업 정원의 3% 이상 청년으로 의무채용’을 선택했다.

 강예은(초교·11)씨는 “표준이력서를 통한 능력 위주의 선발이 이뤄지면 아무래도 그 사람에 대해 보다 다양한 측면을 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통학과 관련해서는 ‘19세~24세 버스 및 지하철 요금 10% 할인’ 공약을, 문화와 관련해서는 ‘예술영화 보호 및 문화예술생태계 지원’ 공약을 내세운 박 후보는 각각 약 70.4%(284명 중 200명), 약 68.4%(275명 중 188명)의 지지율을 얻었다.

 반면 대학생 주거 관련 정책에서는 정 후보의 공약인 ‘기숙사 수용률 20%까지 확대 및 주거 정보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주거지원 정보센터 설립’의 지지율이 약 68.6%(271명 중 186명)였다. 정 후보의 ‘반값등록금 대안으로 장학금 및 대학생 주거시설 확충’ 공약은 약 55.6%(286명 중 159명)의 지지를 받았다.

 이수민(불문·13)씨는 “기숙사 수용률이 낮아 주변 친구들이 하숙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자주 봤다”며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은 기숙사 수용률을 높이고 대학생 임대주택과 같은 주거시설을 확충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