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XXXXX-125XXXX’ 혹은 ‘XXXXXX-225XXXX’. 이 주민등록번호 주인은 탈북민일 가능성이 높다. 2007년 이전 입국한 탈북자 7500명은 경기도 안성시 하나원을 거주지로 한 주민등록번호를 받았는데 번호 뒷자리가 남자는 ‘125’, 여자는 ‘225’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탈북민과 남한사람을 구분 짓는 가시적인 잣대 외에도 새터민의 취업 과정에는 투명 유리가 늘 도사리고 있다. 2010년 홍정욱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탈북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취업시 탈북자란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한 탈북대학생은 어렵게 아르바이트 자리를 얻어도 ‘탈북자는 안 받는다’며 거절당할 때가 있었다고 말했다.

탈북 대학생들에 대한 차별의식 뿐만 아니라 이들의 부족한 영어실력, 대학생활 부적응 등이 취업을 어렵게 하기도 한다.

대부분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공인영어시험 점수를 원하나 앞서 언급한 자료에 따르면 ‘공인 영어성적이 없다’는 답변은 무려 80.6%(87명)으로 조사됐다. 취업이 잘된다는 공학, 경영, 경제학과에 입학한 탈북대학생들은 오히려 공부 방법, 요령 등을 얻을 곳을 찾지 못해 대학에서 중도 탈락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와 같은 상황이 탈북 대학생이 남한 생활에 적응하는 노력을 덜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없다. 탈북대학생을 정원 외로 입학시키고 이들을 위한 장학금까지 마련해 입학을 장려했던 대학도 책임이 있다.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한국 적응을 위해 유학생커뮤니티, 본교생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경력개발센터 등을 만드는 것처럼 탈북대학생들의 대학생활부터 졸업 후까지 도와야 한다. 오히려 대학을 다닌 탈북민은 넘지 못하는 벽을 미리 겪어 한국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대학은 체계적으로 탈북대학생의 취업을 도와야 할 것이다. 먼저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장기적인 멘토링제, 경제적인 이유로 학업에 충실하지 못하는 새터민을 위한 장학금 제도를 확충해야 한다. 그 후에는 새터민이 잘할 수 있는 직무, 취업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소개하 고 영어실력 등 취업에 필요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한국청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탈북 대학생 ‘2011년 인턴십교육’ 유경험자의 취업률이 88.8%에 달했다. 이처럼 조금의 지원으로 탈북 대학생들은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이제 ‘북한’사람이 아닌 동고동락하는 친구다. 대학이 이들을 향한 진심어린 관심과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