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수) 서울시는 신촌민자역사 건설 계획안이 반려됐다는 사실을 총학생회가 서울시에 보낸 탄원 편지에 대한 답변과 함께 알려왔다.

신촌민자역사 건설은 최종적으로 서울시 도시 계획위의 허가만을 남겨놓고 있었다.

서우릿는 계획안을 다시 서대문구로 내려보내 현재로선 걸설계획이 보류된 상태다.

관계당국의 허가를 받는 즉시 올해안에 건설에 들어갈 것이라던 미리오레측의 호언장담을 잠시나마 잠재울 수 있게 되었다.

하만 지금으로선 교육환경 수호를 자축하며 샴페인을 터뜨리기에는 너무나 설익은 감이 든다.

오히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교육환경을 지키기 위한 시발점으로 삼아야 할 때다.

서울시는 민자역사 계획안 반려의 이유로 교육환경에 두기보다는 고속철, 경의선 등 관련사업에 대한 여객 및 화물수용체계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계획이 나와있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주변환경과의 부조화, 교통혼잡이 우려된다는 것을 들고있다.

즉 운영계획안 자체의 부실함을 주된 문제로 삼고 있더, 사업 계획안을 보충해 재심의에 들어갈 경우, 문제는 언제라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

실제로 철도청은 신촌민자에 대한 포기 보다 사업계획안 수정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고 한다.

서대문구청 뿐 아니라 서울시 역시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이 희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야말로 신촌민자역사 문제는 잠시 휴지기에 돌입했을 뿐이다.

우리 역시 신촌민자역사 문제를 공론화 시키지 못했다는 점이 다시 한 번 지적된다.

개발이 처음 진행된 해가 90년대인다.

10년가 산발적인 교육환경수호운동은 있어왔지만, 소수의 목소리에서 맴돌아 일간지 한 귀퉁이를 장식하는 데서 그쳤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 9월 불거진 밀리오레 입점을 거점으로 뒤늦게 불붙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환경수호에 나선 학생들과 교수들은 일반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목말라하고 있다.

또한 신촌민자는 이대만의 문제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광역적으로 상업 지구화 된 신촌 8개 대학 캠퍼스들이 연계 해 교육환경 수호에 함께 동참해야 한다.

신촌민자는 신촌지역 대형상가 건설의 판도를 결정짓는, 쇼핑몰 건설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지엽적인 교육환경 정화는 주변의 상권이 언제든지 다시 침투할 여지를 마련하고 있어, 신촌대는 지난 95년 법정투쟁을 통해 학교 앞 상가건설을 막았지만, 현재 더욱 번성한 상업지구속에 캠퍼스를 묻고 있다.

현재 보류중인 신촌민자역사 개발은, 교육환경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시간을 벌어 주고 있다.

절반의 성공에 머물지 않도록, 장기적인 안목으로 교육환경을 내다보고 동참하자.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