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제도가 2002년을 기점으로 획기적으로 바뀔 전망이다.

최근 대부분의 대학이 밝힌 새로운 입시제도는 내용이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기본방향은 비슷하다.

즉 본고사 페지와 다양한 전형방법·기준의 도입, 특히 수능점수나 교과성적보다는 개인의 특성이나 각종 활동경력 등에 중점을 둔 전형기준, 각 학문영역의 특성 고려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입시제도의 개혁은 지금까지의 입시제도가 성적위주의 확일적 기준에 의존하여 개인의 다양한 개성, 자질을 무시했고 입시위주의 학교교육과 과열된 과외부담을 초래했으며 대학간 서열화와 학벌위주의 사회를 가져왔던 점에 대한 반성에 기초한 것이다.

이러한 입시제도의 개선방향은 매우 타당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새로운 입시제도의 방향과 취지에 공감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입시제도 개혁에 대해 몇가지 우려를 금할 수가 없다.

먼저 이러한 제도가 어느 정도 우리의 교육적 현실을 고려하고 있느냐 하는 점이다.

실제로 1인의 교사가 과다한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교사나 교장이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자질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에 대한 평가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대학간 서열이 이러한 제도로 없어질 수 있을 것인지, 일류대학을 가기 위한 새로운 모습의 입시전쟁이 생기고 새로운 형태의 과외가 성행하지 않겠는지 우려도 생긴다.

다음으로 입시제도에 적용되는 기준이 다양화 됨에 따라 어떻게 입시의 공정성, 객관성을 확보할 것인가도 문제다.

최근 학교장 추천입학에서도 드러났듯이 추천서 대부분이 공허한 찬사로 획일화 돼 변별력이 없다고 한다면 이를 통한 당락 결정의 합리성에 대한 신뢰가 있을 수 없다.

면접 점수 강화도 그 기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입시에 대한 불신만 초래할 위험이 있다.

또 교과성적이 입시의 획일적 기준이 돼서도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과소 평가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게다가 각 대학이 내놓은 입시제도 중에는 공감하기 어려운 전형방법을 도입하는 경향도 있다.

입시제도가 기발한 아이디어의 전시장같이 돼서는 안되는 것이다.

또한 조기전형이나 특정과목만에 의한 전형과 같은 제도의 도입은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저해할 우려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있어야 할 것이다.

사실 대학입시제도가 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입시제도의 변경은 매우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도한 이상이 좋다 하더라도 그 현실적 전제가 갖춰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변경이 성공하기 어렵다.

그래서 입시제도의 변경이 성공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선행돼야 하며 그래야 개혁이 또다른 개혁을 낳는 악순환을 막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대입제도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이를 도입하기 전에 그로 인해 초래될 문제점에 대한 점검과 보완을 촉구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