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인권영화제의 열기로 분주한 일주일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분위기에 파묻혀서인지 아직까지 학내 어느곳에서도 신촌민자역사에 관한 움직임은 찾아볼 수 없다.

지난 23일(수) 신촌민자역사 주관사업자가 대우 컨소시엄으로 선정되면서 민자역사화 작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대학가 중심부에 패션 문화종합타운을 표방하는 대규모 상업시설의 신촌역사가 들어설 경우 이것이 이화주변뿐 아니라 신촌의 지형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것은 의심할 바 없다.

그러나 학교측과 총학생회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일(화)이와 관련해 신촌민자역사를 주제로 3차 교학협의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는 대책으로 교수·학생·동창회로 이루어진 학교대표위원회 구성,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 제소, 서명운동과 일간지 광고 등을 논의햇으나 이는 너무나도 소극적인 대응책이 아닐 수 없다.

신촌역이 민나화되는 것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육환경권의 침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법적으로 명시돼 있는 시행법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환경권의 보호를 요구하는 것이 상당한 난제일 뿐만 아니라 신촌민자역사가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자본유지촉진법’에 의해 진행되로 있는 것이기 대문에 이것을 제지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감정적 대응이 아닌, 이에 맞설 전문적인 식견이 필요하다.

민자역사가 지방자치단체인 서대문 구청의 설립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설계안이 교통·환경부분에 대한 정부의 심의를 통과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교는 이에 대한전문팀과 전문인력을 구성, 학교의 소유권침해를 증명할 수 있을 만한 실례를 조사·수집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책은 물론 위원회를 통한 대우와의 의사소통 통로를 마련하여 학교측의 의견을 끊임없이 표면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한편 총학생회는 만오천 이화인의 관심을 촉발하여 그것을 참여로 이끌어내는 것이 자신의 책임임을 인지하여 자보작업과 선전전, 서명운동등으로 이화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신촌민자역사가 비단 이화의 문제만이 아니라 신촌지역의 교유고한경권과 관련되는 문제임을 인식한다면 즉각 신촌지역 타대와의 연계를 모색하는 방안을서둘러야 할 것이다.

지금과 같은 학교와 총학생회의 무력한 대응만으로는 막강한 자본의 힘에 의해 상업화되는 신촌민자역사를 막아내기는 불가능하다.

작년 럭키프라자 불매운동에 강하게 대응했던 이화의 모습을 다시금 볼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이화구성원 공동의 대응으로 학내 3주체의 단결된 움직임을 보여야 할 때임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