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석춘 주간교수의 O.K를 받고 정상적으로 인쇄 마침. 2일(월) 오전 6시: 연세대 내에 학보 배포 오전 8시: 실처장회의에서 신문에 대한 문제제기 오전 8시 15분: 관리과 직원들 통해 신문 전면수거 오전 8시 30분: 편집교수 참석하에 열린 2차 실처장회의에서 배포금지 결정 이상은 ‘연세춘추’가 2학기 개강호를 내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다.

학교당국은 ‘연세의 신문으로서 연세대의 입장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학보의 배포중지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학교 고위 운영자들의 눈 밖에 난것은 바로 한총련 관련 기사였다.

이들에게 학원내 공권력 침탈에 관한 기사는 너무나 ‘편파적’인 것이었다.

‘숙대신보’또한 한총련 기사고 개강 첫호가 배포중지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학교당국과 정권이 이른바 ‘편파성’이라고 말하는 것에 대해 인정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그것은 기존언론에서 보도됐던 것과는 뭔가 ‘다른’이야기들이 펼쳐져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런 이야기들이 나올 수 있었떤 것은 80년대 독재정권의 서슬이 시퍼렇던 때 생겨난 대학신문이 그 진보적인 비판정신을 지속적으로 이어오면서 기존언론과는 달리 정권의 잘못된 정책과 행태에 관해 냉철하게 비판하는 것을 잊지 않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한총련사태는 그런 제도언론과 대학언론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알 수 있게 한 하나의 계기였다.

그러나 발행인의 자격, 혹은 권력을 쥔자의 자격으로 그들은 대학신문에 대한 탄압을 통해 진보적인 대학사회내의 언로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다.

대학은 다양한 세계관을 가진 구성원들이 이루는 하나의 작은 사회다 . 이 속에서 대학신문은 다양한 의견을 가진 구성원간의 여론이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권위적인 풍토가 잔재하는 여러 학교와 보수적인 사회의 시각에 대응하여 진보적 대학인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는 대학신문은 엄연한 ‘언론사’이다.

권력관계로 봤을 때 우위에 있는 정권과 학교당국에 의해 그 위상을 인정받지 못한 채 기사의 편파성을 빌미로 배포까지 막아버리는 것은 권력자의 횡포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힘을 가진자가 반드시 모든 일의 결정자일 수는 없다.

대학신문의 진정한 주인은 바로 신문을 매체로 소통하는 대학인들이며 기사에 대한 판단은 실질적 주체인 독자의 몫이며 기본적인 권리가 아닐까. 신보수주의가 다시 사람들의 사고를 지배하고 진실에 가까이 가는 자는 ‘편파적’이라는 이유로 그 순수성을 빼앗기는 이 시대에 기자는 남다른 위기감을 느낀다.

하지만 남들이 외면하는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아직 내곁에 있다는 사실에 희망 또한 버리지 않는다.

이것이 내가 대학언론인으로서 아직도 존재하는 이유가 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