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대학보입니다.

그간 잘 지내셨나요? 어느덧 고된 중간고사 기간도 끝나고 학기의 후반부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대학보도 3주간의 휴간을 마치고 하반기 발행을 재개했습니다. 오랜만에 독자 여러분을 다시 뵙는다고 생각하니 정말 반갑고, 하반기에는 또 어떤 소식을 전할까 하는 생각에 설레기도 합니다.

저는 휴간기간 동안 상반기 활동을 되돌아보며 하반기에 더 발전하는 학보가 되고자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동안 발행했던 신문들을 찬찬히 읽다보니, 계속해서 제 머리 속을 맴도는 의문이 하나 있었습니다. ‘ㄱ씨는 이렇게 말했다’, ‘관계자는 저렇게 말했다’ 등. 우리는 왜 이렇게 익명 취재원을 자주 사용할까요?

언론은 익명 취재원 사용을 최대한 지양해야 합니다. 익명 표기는 취재원 투명성을 저해해 기사의 신뢰도를 낮추기 때문입니다. 물론 익명 표기가 항상 지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내부 고발자처럼 취재원을 보호해야 하거나 익명을 사용함으로써 취재원들이 보다 자유롭게 깊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어 그 공익성이 크다면 실명을 밝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문제가 됩니다. 우리는 여러 언론사에서 취재 부족으로, 습관적으로 익명 취재원을 동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익명 취재원이라고 해서 모두 오염된 취재원은 아니지만 오염될 가능성은 실명 취재원에 비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잘 알고 있어도 매일의 취재현장에서 이를 지키기는 쉽지 않습니다.

제가 취재기자로 처음 발탁되어 취재를 할 때만 생각해보더라도 이름을 익명으로 표기해달라는 요청을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특히 특정 사안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전하거나 갈등의 소지가 큰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더욱 그랬지요. 이렇게 직접 취재현장에 나가거나 편집국장의 자리에서 취재기자님들의 취재보고를 받다보면 사람들이 익명 표기를 가볍게 여긴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아무래도 학내언론뿐 아니라 기성언론에서도 익명 취재원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모두가 둔감해진 거겠지요.

사실 취재원 익명 표기에 대한 지침은 말 그대로 가이드라인이기 때문에 구체화된 규정은 아닙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은 익명 표기 허용 조항을 폭넓게 생각하고 쉽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모호함에서 벗어나고자 저는 취재기자님들께 최대한 실명 취재원을 구하고, 취재원이 익명 표기를 요청하는 경우 그 취재원이 실명 표기를 허용해주도록 설득하는 방향으로 취재지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취재현장에서 현실적인 벽에 막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정 인물을 꼭 취재해야 하는데 그 취재원이 실명 표기를 완강히 거부하는 경우 저희도 어쩔 수 없이 익명 표기를 더러 허용하곤 합니다.

이에 독자 여러분께 간곡히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이름을 알려주세요. 기사에서의 실명 표기는 기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이 책임감을 가지고 의견 표명을 하게 함으로써 더 건강한 담론 문화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저의 칼럼이 여러분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여는데 기여하길 바랍니다. 이대학보는 더 책임감 있고 신뢰성 높은 언론사가 되고 싶습니다. 저희 이대학보의 이런 발걸음에 독자 여러분께서 보다 열린 마음으로 함께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