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1총선이 다가옴에 따라 저대대표간의 주도권 쟁탈을 위한 전쟁이 한창이다.

우리는 그 속에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고민하며 최선이 아닌 차선을 선택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그리고 결론은 노태우 전대통령에게 1천여억을 넘게 받았다는 김대통령이나 20억원을 받았다는 국민회의 김총재 중 하나를 찍듯이 선택하거나 아니면 선거에 대한 "보이콧"을 하는 것 정도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러한 선택을 강요받으며 선거를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 것일까? 이제 우리는 괴로운 관망이 아닌 적극적 행동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가 원하는 후보를 내고 그 후보를 통해 "보이콧"을 넘어선 실천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후보를 지지해야 하는 것일까? 우리가 지지해야 할 후보는 바로 보수 색깔논쟁이나 일삼고 있는 여야당 세력들은 분명 아닐 것이다.

그리고 요즘 인기를 얻고 있는 개혁적 야당후보에 대한 비판적 지지도 있을 수 없다.

제도정당에 적을 두고 있는 후보를 비판적으로지지한다는 것은 실제 노동자 민중의 독자성을 상실했다고 할 수 을 이루고 있으며 그 성과를 보수 정치권에 고스란히 넘겨주는 것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이 사회의 대부분을 이르며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공장에서, 사무실에서, 그리고 긔 외의 여러 곳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민중들이다.

하지만 95년 최정환 열사에서 시작된 타살정국은 이들이 주인이 되는 존재라기 보다는 탄압받고 죽음을 강요받는 조재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제는 노동자 민중이 정치의 주체로 나서야 할 때인다.

이 사회의 진정한 주인임에도 현실정치와는 유리된 채 무시당하고 탄압받으며 사는 것이 아니라 정치의 주체로 뛰어들어 이 사회를 변화시켜 나갸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총선에 출마한느 후보는 전국적으로 6명이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이들과 함께하는 총선은 노동자 민중이 정치의 주체로 등장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과 과제를 가지고 총선시기에 우리 대학생들이 해야 할 일은 안정을 강조하며 노동자 민중을 탄압하는 보수정치의 허상을 폭로해 내고 "무소속 노동자, 민중후보"들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보수정치권의 이전투구의 장이 되고 있는 총선을 정면 돌파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하나하나 통과해 나갈 때 노동자 민중의 정치세력화는 한걸을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