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현 교육을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사가 21시게 아이들을 가르친다」라는 한마디의 문구를 통해 말하기도 한다.

지난 4월에 실시됐던 교생실습은 이러한 교육현실을 예비교사들이 직접 느낄 수 있는 계기였다.

10년전 자신의 학창시절과 다를 바 없는 콩나물시루같은 교실에서 자율적인 교수활동을 위한 아무런 지위도 보장받지 못하고 권위주의적 체계에 억눌린 교사와 기묘한 서양음악에 맞춰 몸을 흔드는 아이들을 보며 교육현장의 심각성을 깨달았다.

이런 교육현장에서 보여지는 문제점은 본질적으로 교육에 관철되는 두가지 큰 흐름속에서 찾을 수 있다.

국가의 철저한 교육통제와 자본주의 논리관철이다.

이 큰 흐름속에서 교육현장의 문제를 살펴보면 우선은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병폐는 경쟁적인 입시교육이다.

해마다 한해에 1백여며의 아이들이 성적을 비관하며 자살하고 많은 아이들이 「비행청소년」이란 딱지를 달고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이는 60년대 이후 외세의존적이고 종속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파행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한 과잉교육열과 인문과학에 대한 편협한 선호, 실업교육의 실패, 인구의 도시집중 등으로 인한 과열된 입시경쟁은 정상적인 교육운영의 치명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

다음은 교육이 정치권력에 의해 독점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중앙집권적이고 하향작인 각종 교육제도 및 자치에서 쉽게 파악된다.

통치체제를 강화하고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수행기관으로서 교육행정조직이 자리잡고 있고, 고위층에서 학생에 이르기까지 속달가능한 관리통제는 교육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획일적이고 비민주적인 교육풍토를 이루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체제가 분단고착화와 정권유지수단으로 이용됨은 말 할 나위도 없다.

또한 권위주의와 관료주의가 판을 치게 되고 교사의 교권은 무시되어 교사를 철저히 소외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궁핍한 교육예산과 형편없는 교육시설의 문제이다.

해방 후 45년간 경제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여건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이는 분단상황이라는 이유로 핑계로 낮은 문교예산을 합리화하면서 교육여건을 더욱 열악하게 하고있다.

1972년에는 8.3조치라 해서 얼마 안되는 문교예산을 재벌특혜로 전용하는가 하면, 82년에는 부족한 문교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거둔 목적세에 「교육세」는 평균 50%가 다른 용도로 전용되었다.

문교예산은 우리나라에 비해 경제수준이 떨어지는 나라에 비교해서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렇기 때문에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고 아직도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시설이 거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고질적인 우리 교육현실의 문제들이 우리 교육을 병들게 하고 있고 결정적으로 우리 교육의 민족적이고 민주적이며 인간적인 지향을 가로막고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현재 이러한 교육의 문제가 사회구조적 요인과 연결되어 있을 때 해결책 또한 사회구조의 변혁속에서 찾아질 것이다.

이와 더불어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교육의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함께 해결의 주체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