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조한 투표울 속 ‘비운동권’약진 과도한 정치적 비판 ‘대학 속 작은 학생회’요구 학생회 장악이 전

90년대 학생운동을 마감할 99년 학생회 선거가 숙명여대·단국대 든 내년 3월로 연기된 대학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마무리 됐다.

당초 이번 선거는 청년실업문제와 대학구조조정 등 98년 대학 사회 현안을 두고 열딘 선거전이 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50%를 겨우 넘는 투표율에 연장투표를 진행하는 곳 까지 속출하는 등 전반적으로 침체된 분위기를 면치 못햇다.

이는 운동권, 비운동권을 망라해 각 후보간의 정책이 또렸한 차별점이 없어 학내 복지에 치중하는 등 사상적 차이에 기반한 정책공방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

또한 한국대학총학생연합(한총련)을 둘러싼 농쟁­강화·혁신·해체­역시 3년째로 접어들면서 더이상 학우들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될 수 없었던 것도 영향을 끼친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학생회의 과도한 정치적 지향서을 비판하는 ‘비운동권’이 연세대·계명대를 비롯 전국 각 대학에사 대거 당선 됐다.

이에 반해 각 운동 세력은 민족해방계열(NL)과 민중민주계열(PD)의 좌파진영 그 어떤 진영도 전국 총학생회 선거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지 못했다.

다만 민족해방계열 내에서는 ‘자주대오’보다‘사람사랑’이 약진 했으며 좌파 진영 내에서는 ‘전국학생연대(학생연대)’가 기존의 세력을 유지한 데 반해‘대장정학생연합(대장정)’은 대거 탈락 했다.

주요 대학 총학생회 결과를 보면 서울대는 ‘21C진보학생연합’, 외대·경북대는 ‘자주대오’, 고려대·한양대는‘사람사랑’, 이화여대·서강대는 ‘학생연대’, 숭실대는‘대장정’이 당선됐다.

이러한 ‘비권 약진’은 기존 운동권에 대한 냉소와 불신의 골이 깊어진탓으로 일반대학생들은‘사회속의 학생회’보다는‘대학 속 작은 학생회’를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케 한다.

즉 학생회가 한 정파에 의한 과도한 정치ㅈ거 지향성을 표출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다양한 이해와 요구를 반영하는 소통의 공간으로 자리잡길 원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각 운동세력 대부분은 학샹회의 위상 변화를 요구하는 일만학생들의 목소리 의식, 자신의 정치적 지향성 보다는 학내문제 해결을 공약 1순위로 꼽았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관련 서울대 선거에서 ‘대장정’총학생회장 후보로 나섰던 김진혁군(법학·4)은 “한총련 주류의 경우 저직적 역랭이 구축돼 있는 대학에서는 ‘한총련 강화’등 정치적 지향성을 분명히 했다”며“그러나 조직력이 약한 대학의 경우에는 아예정찾거 색깔을 은폐하며 학내복지만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는 성격이 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조선대에서는 ‘자주대오’후보가 선거기간에는 언급하지 않다가 당선소감으로‘7기 한총련 건설’의 결의를 밝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처럼 사상적 차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 대결의 부재와 함께 저조한 투표울 역시 학생회의위상이 흔들리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굳이 ‘투표거부운동’이란 조직적 대응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대표자를 선출하는 ‘학생회’라는 공간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지면서 투표율은 점점 낮아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 할 때 단순히 각운동세력이 몇 개 대학 총학생회를 장악했는지의 여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한ㄷ. 이데 학생연대 집행위원장 조민성씨는“한총련에 속한 학생의 머릿수가 많은것이 결코 대학사회에서의 한총련 대표성 복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한다.

죽 민족해방계열이 좌파진영보다 총학생회의 당선 대학이 많다고 해서 곧 99년 한총련 강화를 의미한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서울대학에서 21C진보대학연합이 당선됐다고 해 학우들이 21C를 선택했다고는 볼 수 없다”는 21C학생진보연합 선거기획단장 김동규씨의 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투표에 있어 어떤 정치적 색깔을 지녔느냐가 댜표를 선출하는 데 있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생회가 자신의 대표조직이라는 데 의구심이 만연한, 각 후보가 비슷비슷한 공약을 내걸고 있는 상화 속에서 그들 중 누가 당선되더라도 별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이처럼 단순히 각 운동세력의 당선대학 학생회 수가 한총련의 강화와 해체를 결정짓는 시대는 지난 것으로 판단된다.

민족해방계열이 ‘7기 한총련 건설’을 외치고 좌파진영이 한총련을 대채할 수 있는 ‘새로운 연합체 건설’을 주장 한다 할지라도 학생회의 위상 약화 요구는 이미‘학생회 연합회’의 대표성을 부정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90년대 들어 과·단대 학생회가 붕괴되면서 학생회로의 ‘권력집중’이 아닌 학생회의 ‘권력분산’을 얘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실제로 대학사회에서는 학생회보다는 여성위원회·교육운동 연대회의·청년실업을 고민하는 대학생들의 모임 등 분야 별로 담론이 형성, 활성화되고 있으며 ‘예산자치제’등 학생들의 자발적 행동을 지원하는 정책들의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학생회가 모든 것을다 해결 해야 한다는 학생회로의 권력집중구도가 오히려 대학사회의 활발한 소통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에 좌파진영이 학생회 ‘권력분산’의 필요성에 동감하는 반면 한총련 중심의 민족해방계열은 여전히 ‘자주적 학생회’를 기치로 학생회의 강화르 내세우고 있느 실정이다.

이에 99년에 보다 가시화될 청년실업문제와 대학구조조정문제에 있어서도 탈학생회식 정치활동을 표방하는 단위와 좌파학생운동진영간의 연대가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99년 학생회 선거는 80년대 기존 학생회가 지녔던 학생회 위상 및 운영원리가 해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2천년대 학생운동의 흐름을 예상케 한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