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원 김종미씨가 추천하는 책

“노자의 「도덕경」을 여성주의적인 시각에서 읽으면서 전혀 새로운 느낌을 받았다”는 우리 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원 김종미씨는 노자의 도덕경에는 모계사회의 여신과 부드러운 달이 살아 숨쉬던 때의 여성적인 힘이 살아있다고 말한다.

가장 낮은 곳에 있는 계곡을 이상적인 공간으로 보고 있는 노자 사상은 논리적인 언어가 아니라 노래를 부르듯 전해졌으며 여성적인 운율을 갖고 있다.

그녀가 노자의 사상을 여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연구하게 된 배경에는 프랑스 여성철학가인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저서 「시적 언어의 혁명」의 힘이 컸다.

정신분석학에서 철학 등을 넘나들며 언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사회적인 언어보다 비사회적이고 무의식적인 언어들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혁명성을 가지고 있음을 전하고 있다.

기존 언어가 지닌 질서와 무관하면서도 은율적인 특성을 지닌 시는 있음과 없음, 드러냄과 감춤 등의 반대되는 사고의 두 축을 넘나들면서 더 큰 생명력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특히 김종미씨는 이 책에서 위와 같이 생명력의 충전 상태를 일컫는 코라(chora-자궁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라는 용어에 주목하며 코라는 바로 노자가 이상적인 공간으로 말한 ‘계곡’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이야기한다.

코라(chora), 즉 자궁의 생명력은 ‘비어있음’으로 인해서 새 생명을 품을 수 있게 되고 이 점은 노자 사상의 ‘낮은 곳으로 흐르는 빈 공간인’ 계곡과 닮아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김종미씨가 소개하는 노자가 말하는 계곡과 「시적언어의 혁명」에 나타나는 코라는 세상을 품어내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이것이 세상을 바꾸는 여성의 힘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김종미씨는 쥴리아 크리스테바의 「시적언어의 혁명」을 통해 오래된 노자의 도덕경에서 새로운 여성의 눈을 발견한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