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 블랙미러-화이트베어

출처=블랙미러 페이스북(facebook.com/BlackMirrorNetflix)
출처=블랙미러 페이스북(facebook.com/BlackMirrorNetflix)

극이 시작되면, 한 여성이 고요한 집안에서 깨어난다. 여자는 두통을 호소하며 주위를 둘러보는데, 손목에는 자해의 흔적이 있고 주변에는 수면제로 보이는 알약들이 널브러져 있다. TV 화면에는 이상하게 생긴 표식이 떠 있다. 

모든 기억을 잃은 듯 황망하게 집안을 헤매던 여성은 거실에서 딸로 보이는 아이의 사진을 발견하고 순간적으로 짧은 기억을 떠올린다. 여자는 아이의 사진을 가지고 집을 나서는데, 주변에서 사람들이 창밖으로 여자를 촬영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그러다 TV에 있던 심볼과 같은 그림이 그려진 가면을 쓴 사람이 총을 들고 쫓아오게 된다. 여자는 어쩔 줄 몰라 하며 도망을 다니다 소리를 질러 도움을 청하지만 사람들은 아무런 말도 없이 계속해서 촬영을 한다. 

한참을 달리다 도착한 한 상점에서 두 남녀가 여자를 도와준다. 총을 피하다 남자는 죽게 되고, 조력자와 여자는 함께 도망친다. 조력자는 여자에게 TV 화면에 떠 있는 신호 때문에 사람들이 이상해졌고, 우리와 같이 신호에 면역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고 상황을 설명해 준다. 둘은 계속해서 도망치지만 곧 총을 든 사람들에게 발각되고, 또다시 쫓기게 된다. 그러다 한 남성의 차량에 동승하게 되는데, 같은 편처럼 보였던 남자는 사실 총을 든 이들과 한패였고, 둘은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된다. 

​남자는 이들을 죽여 사람들에게 구경거리를 만들어 주겠다고 말하고, 사람들은 이들을 쫓아다니며 촬영을 한다. 그러나 조력자는 남자가 한눈을 판 틈을 타 총을 빼앗고 다행히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 조력자는 남자의 차량을 몰고 '화이트베어'로 가야 한다고 말한다. 

여자는 '화이트베어'라는 말을 듣고 불길함을 직감하고, 그곳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말하지만 조력자는 멈추지 않고 화이트베어로 향한다. 화이트베어에서 송신기를 불태우면 이상한 신호를 멈출 수 있고, 그러면 사람들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여자를 설득한다.

둘은 화이트베어에 도착해 계획을 실행하고자 하지만, 총을 든 사람들이 쫓아와 이들을 방해한다. 여자는 총을 빼앗아 그들에게 쏘게 된다. 그러나 그때, 총에서는 폭죽이 발사되고, 무대가 열리며 객석의 사람들이 환호한다. 여자를 도와줬던 조력자와 총을 든 사람들이 배우가 무대에서 하듯 관객들을 향해 웃으며 인사하고, 여자는 어찌 된 영문인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때 사회자가 여자에게 당신의 이름을 알려주겠다며 뉴스 영상을 재생한다. 뉴스에서 여자와 여자의 남자친구가 자신의 딸이라고 생각했던 아이를 납치 살해했으며, 남자친구가 아이를 살해하는 동안 여자는 살해 현장을 촬영하였다고 말한다. 뉴스에서 공범인 남자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는데, 이는 죄를 회피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말하고 있다. 여자는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후 매우 고통스러워하며 눈물을 흘리고, 객석의 사람들은 여자를 살인자라며 비난한다. 

여자는 의자에 묶여 어딘가로 실려 가고, 사람들은 이 모습을 촬영한다. 여자는 용서를 빌지만, 처음 깨어났던 곳으로 돌아가 또다시 기억이 지워진다. 한편, '화이트베어' 공원의 관리자들은 이 쇼를 관람하러 온 사람들에게 여자와 절대 대화를 하지 말고 열심히 촬영해 달라고 당부하고, 배우들은 여자를 속이기 위한 연기를 펼친다. 

이 작품은 기본적으로 베카리아의 종신 노역형의 논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살인자에게는 사형보다는 종신 노역형이 더욱 올바른 형벌이라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사형 반대의 입장이다. 수형자에게 형벌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구경꾼들은 그에 영향을 받고, 형벌 수행에 대한 억제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형은 한순간에 집행될 뿐이지만, 종신 노역형은 생이 다할 때까지 가해지는 지속적인 행위이므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근거이다. 

베카리아의 논거대로, 여자는 평생을 반복되는 고통 속에서 살게 될 것이다. 나 또한 베카리아의 주장에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다. 하지만, '화이트베어'의 방문객들은 진심으로 이 쇼를 즐기는 것처럼 보인다. 이들은 범죄자를 심판하고 벌을 주는 것이 아니라, 괴롭히는 행위 자체를 즐기고 있다. 쇼를 구성하는 모든 것은 허구이고, 여자에게만 공포스러운 상황이겠으나, 상대방이 고통받는 모습을 보고 재미를 느낀다면 해당 형벌이 적합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설령 아동을 잔혹하게 납치 및 살해한 범죄자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여자의 기억을 다시 지우고 매일 똑같은 일을 겪게 하는 것보다는, 끔찍했던 그날 하루를 오래도록 기억하게 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 쇼는 그가 저지른 일을 몹시 비슷하게 재연하고 있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아이를 납치한 것을 반영해, 여자의 기억을 지우고 차에 태워 숲으로 데리고 갔다. 같은 편인 줄 알았던 남자가 갑자기 자신을 죽이려고 한 것은, 아이를 '소풍 가는 것'이라고 속여 숲으로 데려간 후 살해한 것을 반영했다. 아이가 죽어가는데 태연하게 촬영을 했던 여자를 반영해 수많은 구경꾼들을 배치했다. 이 쇼를 통해 여자는 자신이 저지른 잘못이 얼마나 잔혹한 것인지에 대해 느꼈을 것이다. 

​범죄자에게 지나친 감정이입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이 극심한 고통을 겪는 모습을 오락거리로 소비하는 것은 양측 누구에게도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 강한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그에 쾌락을 느끼는 사람들은 점차 무뎌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된다면 스너프 필름을 보고도 쾌락을 느끼는 상황이 발생할 것 같아 두려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렇기에 <블랙미러> 시리즈의 엔딩이 늘 어딘지 모르게 소름 끼치게 꺼림칙한 것이겠지만.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