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대 총장 후보자 선거가 온라인 투표로 진행됨에 따라 투표 참여율, 보안 문제, 디지털 소외 등에 대한 의견이 학내 구성원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9월 제17대 총장후보 추천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정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정부 중앙선관위)를 통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현장투표는 실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현장투표 시행 시 약 2만 명의 유권자가 짧은 시간 내 학교에 운집해 코로나19 전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두고 학내 구성원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투표, 참여율 높일까

몇몇 학내 구성원들은 온라인 투표 시행으로 제17대 총장 선거 투표 참여율이 높아질 것을 기대했다. 유희진(행정·19)씨는 “코로나19로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을 듣는 상황에서 온라인 투표는 투표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인 것 같다”고 말했다. 유성진 교수(스크랜튼학부)도 “온라인 투표는 투표 참여까지의 여러 비용을 줄여, 접근성과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전했다.

선관위 측도 온라인 투표로 인한 참여율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선관위 강동범 교수(법학과)는 “온라인 투표 운영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아 투표 참여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부 학생은 온라인 투표 실시에도 학생 참여율이 저조할 것이라며 걱정을 표했다. 10월6일~9일 온라인 투표로 진행된 학생총투표(총투표) ‘정직한 총장’ 참여율이 저조했던 것에 따른 우려다. 강지수(사회·17)씨는 “온라인 투표로 진행된 지난 총투표가 50%의 참여율을 채우지 못해 세 차례 연장된 사례가 있다”며 “학생자치 참여 수준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온라인 투표에 자발적으로 참여할지 걱정된다”고 전했다.

 

온라인 총장선거, ‘보안’, ‘디지털 격차’에 대한 우려도

제52대 총학생회 이모션(Emotion)은 “현재(5일)까지 온라인 총장선거의 정보제공동의 현황이 10%를 웃돌고 있어 학생 참여율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문에서 학생들에게 정보제공동의서 작성을 독려하는 유인물을 배포하고 있고, 각 단위 건물을 돌며 정보제공동의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투표를 도입한 타학교 사례도 있다. 서울대는 2013년도부터 총학생회(총학) 선거에 온라인 투표를 도입했다. 2012년까지 총학 선거 투표율이 30%를 웃돌아 참여율 증진을 위해서 내린 결정이다. 도입 후 투표율은 점차 상승세를 띄다, 2015년에는 51.9%, 2017년에는 52.67%를 기록했다. 서울대 학보 <대학신문>에 따르면 2018년 투표율은 예년에 비해 높아진 57.33%로 2010년대 중 투표율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서울대 총학 선거 당시 온라인 투표를 경험한 서울대 서봉교(전기정보·18)씨는 “단일후보인가 경선인가에 따라 매해 변수가 일정한 건 아니지만, 온라인 투표의 편의성이 투표율 상승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해킹 및 보안 문제 우려도 있어

학내 구성원들은 온라인 투표의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는 전자투표가 도입되기 전부터 제기됐던 문제다. 해킹으로 인해 투표 결과가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세은(경영·19)씨는 “온라인 투표에 처음 참여하기 때문에 정보제공동의 등 투표 과정이 생소하다”며 “학생들이 투표가 어디서 진행되고 누가 관리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집계되는지 정확히 몰라  조작이 발생해도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반면 이러한 우려가 막연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박소영(화학·18)씨는 “온라인 투표로 진행 시 조작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대학 단위 선거에서 부정선거와 해킹 등을 우려하는 입장은 막연한 수준인 것 같다”고 말했다.

선관위 박인휘 교수(국제학부)는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온라인 투표’가 얼마나 정교하게 암호화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중앙선관위가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믿지 못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어떤 세력이 어떤 목적으로 해킹을 한다는 것인지 우려하는 분들의 입장을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 교수 등 학내 구성원이 온라인 투표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선관위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총장 선거에는 정부 중앙선관위에서 운영하는 K-voting(케이보팅) 온라인 투표 시스템이 사용된다. 정부 중앙선관위의 케이보팅 홈페이지(kvoting.go.kr)에는 “해당 투표 시스템에는 ◆키분할, ◆은닉서명 등 각종 보안기술이 적용돼 있어 투표값 위변조가 불가하고 개표결과 검증 기능을 통해 공정한 선거관리가 가능하다”고 적혀있다.

한편 2015년에는 케이보팅 시스템에서 보안 결함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핵심 보안 기술을 제공하던 ㄱ소프트웨어 업체가 기술력을 부풀려 계약을 맺었다. 약 2년 간 케이보팅 시스템은 해당 보안 기술이 탑재되지 않은 채 운영됐다. 이 사실이 밝혀지자 정부 중앙선관위는 신속히 해당 보안 기술을 적용한 후 모의시험을 실시해 시스템을 개선했다.

 

세대간 ‘디지털 격차’,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디지털 접근성으로 인한 소외 문제도 거론됐다. 유씨는 “전자기기를 능숙히 다루지 못한다는 이유로 선거에 어려움을 겪는 디지털 소외는 사회적인 문제”라고 전했다. 투표와 선거운동 등 대부분의 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돼 디지털 방식에 취약한 세대는 참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접근성으로 인한 소외 문제도 거론됐으나, 본교 총장 선거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 교수는 “한편으로는 온라인 선거로 인해 디지털 소외계층의 의견이 결과에 많이 반영되지 못할 수 있고 보유기술의 차이로 인한 접근 제한성의 우려들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어 “다만 총장선거의 경우 교내구성원들 사이의 정보 격차가 크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손쉬운 참여 방법을 제공하고 홍보한다면 유권자 참여의 폭을 넓힐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씨 역시 “해당 문제가 투표에 큰 영향은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개인 기기가 없더라도 원한다면 충분히 컴퓨터나 전자 기기들을 접할 수 있다”며 “오프라인 투표에서 방문할 여건이 못 돼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비율과 온라인 투표에서 디지털 소외로 인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하는 비율에 큰 차이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2021년도 정년 퇴임을 앞둔 전혜영 교수(국어국문학과)는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방식에 많이 익숙해져서 온라인 투표에 참여하는데 크게 어렵거나 불편한 점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본교 총동창회 관계자도 “아직까지는 동창 선거인단 중 디지털 장벽에 대한 문제를 거론한 분은 없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