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다닐 때 배웠던 성교육 중에 기억나는 거 있어?”

  순간 일동 침묵. 나는 깊숙이 묻혀있던 학창시절의 기억을 애써 끄집어냈다. 전교생이 체육관에 모여 지루한 강의를 들었던 장면 한 컷, 그리고 언제 찍었는지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오래된 비디오가 틀어져 있던 교실 장면 한 컷. 그게 전부였다. 다른 조원들의 기억도 오십보백보였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에게도 물어보고 싶다.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성교육 내용 중에 기억나는 게 있는지 말이다.

  우리의 해외탐사는 이런 질문에서 시작됐다. 학생처에서 운영하는 ‘해외탐사Ⅱ·자기설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관심 있는 내용을 선정해 탐사하는 프로그램이다. 평소 성범죄에 관심 있었던 우리 조원들은 자료 조사를 하던 중 충격적인 기사 하나를 접했다. 2009년 세상을 경악시킨 끔찍한 아동성범죄자 조두순의 인터뷰였다. 그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어차피 여자들이 나중에 다 겪는 일인데 미리 겪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될 거 없지 않냐”고 말했다. 우리는 이 정도로 왜곡된 성의식은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 자문하게 됐다. 그리고 건전한 성의식을 확립하는 데 무엇보다 성교육이 중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탐사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야 했다. 사전 조사를 통해 우리가 얻은 결론은 이러했다. ‘성교육 지침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실천이 안 된다.’ 실제로 국내 성교육 지침은 매우 체계적이다. 우리가 만났던 한 성교육 강사는 “내용은 선진국 수준”이라는 얘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장에서 실천이 안 된다는 것이다.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국영수’를 우선시 하는 교육 분위기를 지적했다. 인력과 교구 부족도 심각했다. 성교육을 담당하는 보건 교사가 한 학교에 한두 명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법적인 강제력이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교육부의 성교육 지침은 ‘권고사항’일 뿐, 의무는 아니다.

  우리는 탐사 대상으로 독일과 스웨덴을 선정했다. 독일은 전 세계적인 추세와 달리 10대 임신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나라다. 연방 정부에 의해 성교육이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덕분이다. 독일의 ‘BZgA(연방건강계몽센터)’는 매년 성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각종 기관에 배포한다. 교구에 대한 접근도 용이하다. 스웨덴은 무엇보다 오랜 성교육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다. 1955년부터 성교육을 의무화했다.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성 평등 국가이기도 하다. 스웨덴에서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UMO'라는 인터넷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다. UMO는 성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고 성상담이 이루어지는 사이트이다.

  탐사를 할 때마다 우리는 커다란 한계와 마주해야 했는데, 그것은 바로 ‘문화’였다. 독일과 스웨덴은 성교육을 중요하게 다룬다. 청소년의 건전한 성관계를 용인하는 만큼 그들이 스스로 몸을 지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에게 있어 성교육은 단순히 성병과 순결, 피임 교육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들은 성교육은 건전한 성의식을 확립하는 것은 물론이고 평등한 인간관계, 존중과 배려 그리고 차이를 인정하는 열린 자세를 기르는 교육이라고 입을 모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희망을 보았다. 우리가 만났던 독일의 한 성 전문가는 독일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사회적 분위기는 상당히 보수적이었다. 그러던 독일에서 보수적인 성 고정관념을 거부하는 학생운동이 1960년대에 베를린을 중심으로 발생했다고 한다. 성교육의 중요성을 공론화시키는 데 학생들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는 젊은 세대로부터 논의가 시작되면 변화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공론화의 시작은 국내 최고 여자 대학으로 꼽히는 이화여대가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