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러스트=이화미디어센터 오지원 그래픽 조교
  당신의 ‘앵무새’는 잘 지켜지고 있습니까?

  양심의 상징인 앵무새를 지키지 위한 대학가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연구의 산실인 대학가가 연구윤리(Research ethics) 살리기에 힘쓰고 있는 것이다. 연구윤리란, 표절 등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윤리적 관점에서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2005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이 밝혀진 후 연구윤리가 본격적으로 쟁점에 올랐다. 연구윤리가 대두된 지 10년 차, 본교 등 대학가는 연구윤리 교육프로그램, 표절예방 시스템 등을 신설하는 등 연구윤리 자정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교는 올해부터 대학원생 연구윤리교육 이수를 필수로 지정해 연구윤리 투명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교 대학원생은 2014학년도 1학기 신입생부터 필수로 ‘연구부정행위’를 수강하고, ‘데이터관리와 연구노트 작성법’ 등 5개 연구윤리 강좌를 선택해 수강할 수 있다. 학위논문을 작성하는 중 다른 논문을 표절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이를 이수하지 않으면 졸업을 위한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없다.

  본교 생명윤리위원회 사무국 관계자는 “대학원생 등 연구자가 필수로 교육을 이수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연구 수행을 독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본교 중앙도서관은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표절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스스로 논문 및 과제에 대한 표절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턴잇인(turnitin)’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학부생, 대학원생뿐 아니라 교원도 이용 가능하다. 본교는 올해 10월1일부터 시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내년 1월부터는 본격적으로 정식 서비스될 예정이다.

  김미나(영문·13)씨는 “표절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소논문을 쓰면서도 고민이 많았는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표절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본교 연구윤리를 총괄하기 위한 센터도 마련된다. 논문 표절 여부 등을 검증하는 연구진실성위원회, 생명윤리위원회 등 연구윤리와 관련한 총괄연구윤리센터도 내년 개소를 논의 중이다. 기존에 운영하고 있던 전문운영위원회를 모아 좀더 유기적인 총괄센터를 만들기 위해서다.

  연구윤리 강화에 관한 논의는 본교만의 관심사가 아니다. 표절 감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턴잇인코리아에 의하면 전국에서 약 48개 대학이 표절 예방을 위해 이를 이용하고 있다. (21일 기준) 현재 서울대, 성균관대는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는 등 연구윤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 중 서울대는 학부생도 연구윤리 과목을 들을 수 있도록 개설했다. 성균관대는 2017년부터 학부생에게도 연구윤리 강좌를 필수로 이수하게 할 것을 논의 중이다.

  서울대 관계자는 “신뢰도 향상으로 후속 연구자들에게 좀더 좋은 연구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대한민국 연구의 질이 전체적으로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올해 8월 인문사회 계열을 위한 연구윤리 지침 연구를 발표하는 등 개별 정책을 마련 중이다.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인문사회 분야 연구윤리 매뉴얼’에 의하면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박사학위 논문 일부를 수정해 학술지에 논문을 싣는 것이 허용된다. 연구성과가 이공계에 비해 빠르게 확산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 것이다. 또한 내년 3월부터는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려면 해당 연구자들이 연구윤리교육 의무 이수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대학가 연구윤리 바람을 지속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연구재단 관계자는 “외국은 학부 때부터 연구윤리를 엄격하게 강조한다”며 “학부생에게도 논문 제출시 유사도 검색 시스템 검증 확인서를 제출하게 하는 등 연구윤리를 강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