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선거보도 분석해보니 최근 5년간 재적학생의 절반 정도만 총학 선거 참여한 것으로 드러나

  본교 총학생회(총학) 선거 투표율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지가 2014년 제47대 총학 선거를 앞두고 최근 5년간의 총학 선거 투표율을 조사한 결과, 본교 재적학생의 절반 정도만이 총학 선거에 투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본지 선거 보도에 따르면, 투표율은 ▲2013년 55.96%(1만4486명 중 8106명) ▲2012년 51.30%(1만4706명 중 7544명) ▲2011년 52.55%(1만3779명 중 7241명) ▲2010년(제 43대 총학 선거) 56.07%(1만3698명 중 7681명) ▲2010년(제 42대 총학 재선거) 57.48%(1만5182명 중 8727명)를 기록했다.

  투표율은 단과대학(단대)별로 격차가 두드러졌다. 투표율이 저조한 단과대학(단대)의 경우, 몇 년째 그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사회과학대학과 조형예술대학은 2009년에 치러진 제42대 총학 선거에서 각각 투표율 54.15%(2445명 중 1324명), 51.83%(1557명 중 807명)를 기록한 이후 4년째 50%를 넘기지 못하고 있다. 특히 법과대학(법대)은 최근 3년간 12개 단대 중 투표율 최하위를 기록했다. 본교 12개 단대 중 5년간 동안 투표율이 50% 이상이었던 단대는 ▲공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자연과학대학뿐이다.

  학생들은 선거가 단일선본으로 치러진 점을 투표율이 낮은 주된 이유로 꼽았다. 2009년 제42대 총학 선거 당시 ‘Real 이화’와 ‘Reset 이화’, ‘이화 We Can Plus’ 세 선거운동본부(선본)가 출마했다. 그러나 경고 누적으로 인해 ‘Real 이화’가 후보자격을 박탈하고 이후 ‘Reset 이화’의 자진사퇴로 총학 선거는 단일선본으로 치러졌다. 당시 선거 전 본지가 진행한 ‘제42대 총학 선거에 관한 의견’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1.80%(305명 중 219명)가 단일선본이라는 이유로 투표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결국 선거는 투표율 20.41%로 무산돼 다음해인 2010년 3월 재선거가 이뤄졌다. 또한 최근 2년 동안 단일선본으로 치러진 제 45대, 제 46대 총학 선거는 모두 2일 동안 투표율 50%를 넘지 못해 투표일을 하루 연장했다.

  재작년 제45대 총학 선거, 작년 제46대 총학 선거 출구조사 결과에서도 단일선본으로 인한 한계가 드러났다. 제45대 총학 선거에는 ‘우리이화’가, 제46대 총학 선거에는 ‘시너지이화’가 단일선본으로 출마했다. 본지가 재작년 진행한 제45대 총학 선거 출구조사에서 선거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아니다’를 택한 응답자 비율은 57.84%(612명 중 354명)였고, 그 이유로는 ‘단일선본출마’가 32.20%(354명 중 114명)로 가장 많았다. 제46대 총학 선거 출구조사에서도 선거가 불만족스러웠던 53.00%(300명 중 159명) 중 가장 많은 인원(70명, 44.03%)이 ‘단일선본출마’를 이유로 택했다.

  선거, 여론 등을 연구하는 유성진 교수(스크래튼학부)는 “총학 선거가 단일선본으로 치러졌다는 구조적인 한계가 학생들의 이해를 적극 반영하려는 총학의 동기부여를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후보자가 공약을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던 점 역시 저조한 투표율의 원인으로 꼽혔다. 제44대 총학 선거 출구조사에서 응답자 중 26.33%(619명 중 163명)가 ‘공약 중심이 아닌 보여주기 식 선거유세’가 아쉬웠다고 답했다. 마찬가지로 제46대 총학 선거 출구조사에서도 선거가 불만족스러웠던 응답자 중 13.21%(159명 중 21명)가 그 이유로 ‘공약 중심이 아닌 보여주기 식 선거유세’를 꼽았다.
 
  단대 학생회 부재도 투표율에 영향을 미쳤다. 법학전문대학원의 개원으로 2009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은 법대는 2011년부터 후보자가 나오지 않아 단대학생회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2010년 50% 정도였던 법대 투표율은 이후 절반 이하로 감소한 ▲2011년 22.83%(473명 중 108명) ▲2012년 15.27%(347명 중 53명) ▲2013년 7.92%(202명 중 16명)를 기록했다. 

  총학의 부재는 앞으로 1년 동안 진행될 학생회 일정을 진행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본교에서는 총학의 부재로 대동제 등 일정에 차질이 생긴 적이 있다. 2009년 제42대 총학 선거가 무산돼 4달간 총학생회장 자리가 공석이 되자 3월 재선거로 당선된 제42대 총학이 124주년 대동제 1주일 전까지 재선거 비용 결산처리를 하지 못해 학생처로부터 대동제 명목의 교비지원을 받지 못했다. 이에 제42대 총학은 대동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부스를 신청한 학생들에게 3만원을 받는 등 예치금을 요구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당시 한 중앙동아리 부원은 본지와의 취재에서 “동아리 예산도 부족한 상황에서 예치금 형식이더라도 돈을 지불하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선거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보자가 공약을 유권자인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해 관심을 끄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유 교수는 “총학 선거 결과가 향후 1년간의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며 “총학이 학생들이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공약으로 제시하는 과정이 선행돼야만 낮은 투표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투표율이 저조한 원인 중 하나는 학생들의 무관심이다. 학점관리, 취업 등으로 투표소를 보고도 지나치는 방관적인 자세를 취하는 학생들도 있기 때문이다. ㄱ씨(수학·12)는 “과제가 많은 시기에 투표를 하다 보니 후보자들의 공약을 제대로 살펴볼 시간도, 투표 장소에 가는 것도 번거로웠다”고 말했다. 이에 일부 단대에서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간식 등 유인책을 사용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