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거티브 선거전 속 유권자 스스로 판단력 키워야

 

 6.4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들 간 신경전도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하지만 그 신경전이 도를 넘어 진흙탕 싸움, 소위 ‘네거티브’로 변질되면서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객관적 사실에 입각해 상대 후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 공익적인 검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근거 없는 허황된 비방은 후보자뿐 아니라 유권자에게도 별 소득 없는 흠집내기식 폭로전밖에 되지 않는다.

 이번 6.4 지방선거 역시 네거티브 공방으로 혼탁해졌다. 대검찰청이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마감일인 지난 16일을 기준으로 집계한 이번 지방선거 선거사범 통계를 보면, 전체 선거사범 가운데 흑색선전(네거티브 선거전) 사범 비중은 약 27%로 나타났다. 4년 전 지방선거와 비교해봤을 때 3배가량 올라간 수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제재에도 네거티브 선거전이 계속되는 것은 사람들이 부정적인 메시지에 더 귀를 기울이기 때문이다. 심리학 이론 중 ‘부정성 효과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긍정적인 이야기보다 부정적인 메시지에 더 주의를 집중한다. 이 같은 심리를 이용한 네거티브 선거전은 저평가된 상대방 후보의 이미지를 유권자에게 각인시키는데 좋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유권자는 후보자의 정책과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는 비판의식을 갖고 투표에 임해야 한다. 흔히 정치학자들은 투표 결정요인을 6가지로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인물, 정당, 정책 및 공약 등이 그에 해당한다. 출구조사 등을 살펴보면 인물, 정당을 보고 후보자를 투표했다는 대답이 압도적이다. 하지만 네거티브식 선거가 난무한 가운데 인물과 정당만을 보고 지도자를 뽑는다면 제대로 된 투표의 의의를 살릴 수 없을 것이다.
 
 제대로 된 후보 검증을 위해서는 각 후보가 내세운 정책 및 공약들을 살펴봐야 한다. 물론 그러한 공약들이 포퓰리즘식 공약일 수 있고 혹자는 후보가 몇십 명이나 되는데 언제 그 많은 공약집을 비교하고 분석하느냐고 말한다. 하지만 유권자 스스로도 최소한의 노력은 해야 한다. 언론을 포함해 수많은 매체의 편향된 보도를 믿지 못하는 상항이라면 유권자 스스로 후보자의 정책을 살펴보고 투표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대안일 수 있다.

 선거와 투표는 민주주의의 축제이고 꽃이다. 이에 후보자들은 상호 존중하며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상대방을 흠집 내기보다는 실현 가능하고 상대 후보와의 차별화된 공약으로 선의의 경쟁을 펼쳐야 한다. 유권자들 역시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 지역을 대표하는 지도자로서 부적합한 사람이 선출되지 않도록 각 후보자의 자질과 공약을 면밀히 검증하는 것은 유권자들의 책무이다. 후보자와 유권자 모두 상호 노력하여 이번 6.4 지방선거에서 시민을 위해 진정으로 일할 수 있는 지도자, 제대로 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지도자가 선출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