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자 10명 중 4명 자신은 ‘중도’라고 생각…‘여풍현상’에 대해선 평가 엇갈려

올해는 20년 만에 국회의원 총선거(총선)와 대통령 선거(대선)가 함께 실시된다. 정치권은 20대의 표심을 겨냥해 ▲반값 등록금 ▲일자리 창출 등의 공약을 내세웠고 여당과 야당에서는 젊은 세대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청년비례대표를 선출했다. 하지만 20대가 19대 총선에 얼마나 관심을 가질 지는 아직 미지수다. 18대 총선 당시 20대 투표율은 28.1%에 머무르는 등 20대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지는 본교생들의 정치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정치의식 및 관심도, 정치성향 등 12개의 질문으로 이뤄진 이번 설문에는 학부생 350명이 참여했다.


△응답자 약48.6% ‘반드시 투표할 것’…차기 국회의원에게 ‘부정부패 척결’ 기대

응답자 267명(약76.3%)이 ‘4‧11 총선에 관심 있다’고 답했다. 설문조사에서 170명(약48.6%)은 ‘이번 선거에서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답해 ‘투표할 생각이 없다’고 대답한 75명(약21.4%)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투표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국민의 권리이므로’가 159명(약58.2%)으로 가장 많았으며 ‘투표로 정부가 하는 일에 영향을 주기 위해’가 107명(약39.2%)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나의 투표가 우리나라 정치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에 동의하는 학생은 242명(약69.1%)으로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108명(약30.9%)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반면 41명(약11.7%)은 ‘전혀 투표할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후보자에 대해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 18명(24%)으로 가장 높았다. ‘선거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 6명(8%)으로 뒤를 이었으며 기타의견으로는 ‘부재자 신청 기간을 놓쳐서’, ‘개인 일정 때문에’ 등이 있었다. 박선영(심리‧11)씨는 “정치에 관심을 갖고 투표에 참여하고 싶은데 후보자나 정당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어디서 얻어야 할 지 모르겠다”라며 “이번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에 대해 아는 바가 없어 투표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 정당은 민주정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다’가 252명(약72%)으로 ‘동의한다’고 답한 98명(28%)보다 많았다.

차기 국회의원이 해야 할 일(복수 응답 가능)에 대해서는 143명이 ‘부정부패 척결’을 선택해 약20%의 응답률을 보였다. 112명이 선택해 약15.6%의 응답률을 보인 ‘양극화 해소’가 뒤를 이었다.

주관식 문항인 ‘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바라는 점’에 응답자들은 ‘깨끗한 선거’, ‘무차별적 비난‧공격 금지’ 등을 대답했다. 노은형(영교‧12)씨는 “이번 총선은 내가 투표권을 갖는 첫 선거여서 무척 기대된다”며 “무차별적인 비난이 없는 깨끗한 선거가 되길 바라고 후보들의 공약이 반드시 지켜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신의 정치적 이념으로 ‘중도’ 가장 많이 꼽아…60%이상이 ‘평소 정치관련 대화는 하지 않는다’고 응답

설문에 응답한 본교생 10명 중 4명은 자신의 정치 이념이 ‘중도적’이라고 답했다. 자신이 정치적으로 ‘진보적’이라는 답변은 117명(약33.4%)이 선택했으며 ‘보수적’이라는 답변이 86명(약24.6%)으로 가장 적었다.

이에 유성진 교수(스크랜트학부)는 “최근 젊은 세대들의 정치적 특징은 전보다 정치참여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것”이라며 “젊은 층에서 보수 성향보다 진보성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대학등록금 등 젊은 세대들의 삶과 직결되는 요인들이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기회가 주어진다면 각종 공직선거에 직접 출마하는 등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본교생 응답자 중 292명(약83.4%)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또한 ‘평소 정치에 대한 대화를 얼마나 나누느냐’라는 질문에 225명(약64.3%)이 ‘대화를 나누지 않는 편’이라고 답했다. 김보리(방송영상‧11)씨는 “정치는 별로 관심있는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평소 친구들과 정치에 관한 이야기는 전혀 나누지 않는다”며 “나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몰라서 이번 선거는 부모님의 이야기를 듣고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평소 정치적 지식이나 정보를 얻는 경로로 TV, 라디오,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꼽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응답자가 언론의 권력 감시 기능에 대해 신뢰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언론은 정부에 대한 견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다’가 276명(약78.9%)으로 74명(약21.2%)이 응답한 ‘동의한다’를 3배 이상 앞섰다. 장수훈(소비‧10)씨는 “최근 방송국이 정권에 장악당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신문이나 방송을 신뢰하기 힘들다”며 “언론매체 중 일반 사람들이 주체가 되는 인터넷과 SNS를 통해 정치 관련 소식을 얻는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SNS는 정부와 연결된 매체가 아니라 일반인이 주체가 되는 매체이므로 젊은 세대들은 신문과 방송보다는 인터넷 포탈, 특히 SNS를 통해 정치 정보를 얻는다”고 말했다.


△19대 선거의 ‘여풍(女風)’에 대해선 엇갈린 평가

최근 정계는 여당과 야당 대표가 모두 여자인 이유 등으로 여풍이 불었다고 평가되기도 했다. 이에 본지는 설문에서 이번 선거의 여풍현상에 대한 이화인들의 생각을 물었다.

응답자 중 일부는 ‘정계에 부는 여풍’이라는 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김현은(기독‧11)씨는 “남성의 전유물처럼 느껴졌던 정치권에 여성이 진출했다는 것은 그들이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그 자체가 의미있는 것 같다”며 “여성 의원들로 인해 앞으로 여성에게 육아휴직 등의 복지와 승진에서 차별받지 않는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계의 여풍에 대해 ‘여풍이라는 단어는 남녀 차별에 기반한 것’, ‘변화를 가장한 눈속임’ 등의 시각도 있었다. 최은혜(식영‧12)씨는 “정계에 여풍이 분다는 것은 표면적인 모습으로 평가된 것일 뿐 여성이 정계에서 실질적인 힘을 가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당이 보여주기식으로 여성 대표를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원과 남성의원의 정치 참여율이 비슷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응답자 중 308명(88%)이 ‘여성의 각종 공직참여는 법적 장치를 통해 확대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 40명(약11.4%)의 7배 이상인 수치다.

허라금 교수(여성학과)는 “여성의 정계 진출이 활발해 지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사실 국회의원 중 여성의 비율은 아직 약10%정도”라며 “여당과 야당의 대표가 모두 여성이라는 점으로만 여성의 정치 참여가 증가했다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만드려고 여성 후보를 내세운 것은 아닌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