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발간 예정이었던 성대신문 개강호가 김통원 주간교수(주간)의 결호 결정로 발행되지 못했다. 이에 성대신문 기자들은 주간 불신임을 선언하고 23일 현재, 3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기자는 성대신문 양명지 편집국장을 취재했으며 김 주간과는 메일·전화로 연락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성대신문에 따르면 3일 조판 과정에서 김 주간은 제1520호에 게재될 예정이었던 류승완 박사 관련 기사를 신문에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주간은 ▲사전 논의와는 달리 기사의 분량이 지면의 과반을 차지하는 점 ▲사진 분위기가 류승완 박사를 일방적 피해자로 보이게 하는 점 ▲헤드라인의 ‘폭행’, ‘자작극’ 등의 단어가 학교 신문에 적절하지 않은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에 성대신문 기자들은 ▲기사 분량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와 규모를 논의한 적이 없음 ▲사진의 분위기는 주관적 판단이라는 이유로 주간의 의견에 반대했다. 결국 주간은 기자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결호를 결정하고 주간직을 사퇴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5일 김 주간은 성대신문에 “학교 측에 사퇴 의사를 표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불가피하게 주간직책을 계속 맡게 됐다”고 밝혔다.
 현재 성대신문 기자들은 학교 측에 주간의 사퇴와 학생 기자 편집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현 신문제작 체계를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성대신문은 주간 교수와 총장의 승인을 모두 받아야만 발행 및 배포가 가능하다. 성대신문 양명지 편집국장은 “신문 발행은 독자와 약속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편집권에 관한 개선 의지를 보여준다면 다시 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일 성대신문은 기자의 사비를 걷어 제호가 없는 신문을 발행했다.
 대학가에서 편집권을 둘러싼 주간교수와 기자들의 갈등은 끊이지 않고 있다. 작년 11월 건대신문은 10월에 있었던 편집권 문제로 제호가 없는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다. 사건의 발단은 학생총회 무산 기사로, 기자들은 이를 1면에 싣고자 했으나 정동우 주간이 편집권을 주장하며 이를 반대했다.
 이후 건대신문은 기자와 주간 사이에 1차 기사를 점검하는 미디어실장을 둬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제작과정을 변경했다.
 정 주간은 “예전에는 주간과 학생이 의견이 다를 경우 조정하는 장치가 없었는데 방식을 바꿔 제작과정이 이전보다 융통성 있게 됐다”며 “정당한 이유만 있다면 당국과 총장을 비판하는 것도 좋으나 동시에 상대방의 반론을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9년 중앙대교지 ‘중앙문화’는 게재된 만화가 총장을 조롱한다는 이유로 전권 강제수거, 다음 해에는 교지예산 전액삭감 조치를 받았다. 이에 중앙문화는 재작년 5월 대학언론 탄압에 저항하는 의미로 제목을 달지 않고 교지를 발간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