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타대는 수업마련, 5개 타대는 비용지원…본교 “다양한 방법 모색 중”

작곡과 ㄱ씨는 작년 위클리(1년에 1번 의무적으로 참가해야 하는 연주회)에서 곡을 발표하는 데 3명의 연주자를 섭외해 15만원을 지불했다. ㄱ씨는 “평소 아르바이트를 통해 용돈을 벌었지만 여러 명의 연주자를 섭외하는 데 드는 비용까지 부담하기에는 용돈이 부족해 부모님의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음악대학(음대)이 학생들이 작곡한 곡을 발표하는 데 필요한 연주자 섭외비용을 지원하지 않는 반면 타대 음대는 그 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경기 지역의 작곡과가 설치된 16개 대학 중 연주자 섭외비용을 지원하지 않는 학교는 본교를 포함해 5곳이었다. 작곡과 학생들은 재학기간동안 졸업연주, 춘계‧추계연주, 위클리 등 총 3~5번의 연주회에서 작곡한 곡을 발표해야 한다.

이에 일부 작곡과 학생들은 연주자 섭외비용이 부담된다는 입장이다. 섭외비용은 연주자 당 약5만원이며 연주 시 2~5명의 연주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곡의 규모에 따라 20만원이 넘어가기도 한다.

작곡과 ㄴ씨는 “학교가 아닌 외부에서 연주자를 섭외하면 비용이 한 명당 7~10만원까지 올라가기도 한다”며 “특히 졸업연주의 경우 연주자를 10명까지 섭외하기도 해서 비용이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졸업연주에서 100만원의 섭외비용을 지출했던 졸업자 ㄷ씨는 학생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ㄷ씨는 “평생에 한 번 있는 졸업연주이기 때문에 연주자를 더 섭외하고 싶었지만 비용이 부담스러워 최소한의 연주자 수로 곡을 발표했다”며 “위클리는 매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수업으로 연계되면 학생들의 부담이 덜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명지대 등 11개 타대 작곡과는 창작곡 연주수업을 개설하거나 금전적인 지원 제도를 실시하는 등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양대, 수원대 등 6개 대학은 악기 전공생들이 작곡 전공생의 곡을 연주해줄 수 있는 수업이나 장려 제도를 마련해 섭외 비용에 대한 부담을 없앴다. 연세대는 ‘창작음악연주’ 수업을 개설해 악기 전공 학생이 과제로 작곡과 학생들의 곡을 연주해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연세대 장동인(작곡‧07)씨는 “기악과와의 교류를 통해 연주기법 등 서로 몰랐던 부분도 알 수 있어 연주자와 작곡가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수원대는 작곡 전공 교수의 수업을 듣는 악기 전공생이 작곡 전공생의 곡을 무료로 연주해주면 가산점을 부여해 성적을 올려준다. 수원대 작곡과 관계자는 “작곡과 학생들이 부담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연주자들에게 현대작품 연주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가산점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더 많은 악기 전공자들이 작곡과 학생의 발표곡을 연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현대음악연주' 과목을 신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숙명여대, 국민대 등 5개 대학은 학생들이 위클리, 졸업연주를 제외한 학교 행사에서 곡을 발표할 경우 연주자 섭외 비용의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5개의 대학 모두 연주자 섭외 비용을 위한 과비를 따로 걷고 있지 않았으며 특히 중앙대는 수요연주(위클리)에서도 섭외 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대의 경우 1년에 1번 열리는 ‘창작곡의 밤’ 행사에서 연주자 섭외비용을 지원한다. 작곡과 학생 1명에게 4명의 연주자 섭외 비용을 지원하며, 연주자 한명 당 최대 10만원이 지원되기 때문에 총 4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국민대 위다솜(작곡‧09)씨는 “창작곡의 밤은 위클리보다 큰 행사이기 때문에 연주자 비용이 더 비싸지만 학교의 지원 덕분에 부담이 덜해 곡 발표 준비에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명지대는  연주자 5명의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연주자 1인당 4만원을 지원한다. 명지대 김영랑 음악학부장은 “관현악 전공 등이 없는 학교 특성상 학부에 없는 전공의 연주자 비용에 한해 실험실습비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교는 연주자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지에 대해 논의 중이다. 음악대학 채문경 학장은 “문제해결의 방법 중 하나로 창작연주수업 개설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며 “관현‧성악 등 타과 학생들은 각자의 전공으로 바쁘기 때문에 수업을 개설했을 경우 실효성이 낮을 수 있어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미리 기자 ahead@ewhain.net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