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정치 무관심이 다가오는 ‘4·9 총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선거관리 위원회와 각 대학의 총학생회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반응은 미미하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에 따르면 대학 내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 곳은 카이스트·원광대·대구대 세 군데다. 이는 12개 대학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됐던 지난 총선에 비해 75% 줄어든 것이다.


가장 신고를 많이 한 카이스트도 1천718명으로 2천 명의 설치 기준을 넘지 못했다. 서대문구 지역 대학 중 투표소 설치를 신청한 연세대의 신고자 수는 159명에 불과했다.


대학생의 정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성균관대(성대) 자연과학캠퍼스 총학생회는 학교에서 부재자 투표소까지 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했다. 버스는 오전9시20분부터 오후3시까지 하루에 5번, 4월3일(목)·4일(금) 이틀간 운행됐다.


성대 유보람 정책국장은 “해당 구청까지 가서 부재자 투표를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총학생회실에서 신고서를 배부했지만 학생 참여가 부족했다”고 말했다. 유씨는 “신고서를 받아간 학생보다 셔틀버스를 타고 투표하러 가는 학생들이 더 적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한림대 총학생회는 선거 참여 방법 등을 알리는 UCC를 제작했다. 한림대 조성은 교육정책위원장은 “재미있게 만들면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네이버 CF를 패러디 했다”고 말했다. UCC는 각 학과와 동아리 싸이월드 클럽에 등록됐다. 조성은씨는 “기숙사나 하숙 생활을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지역구와 다른 곳에서 출마한 후보에 대해 잘 모른다”고 말했다. 


2004년 총선에 이어 올해에도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 대구대도 투표에 참여하려는 학생 수는 저조하다. 대구대 총학에 부재자 투표를 신청한 학생은 30여 명뿐이다. 대구대 김수미 문화국장은 “학생들의 총선 참여를 높이고자 등록금 투쟁과 같은 교육 문제도 정치와 관련돼 있음을 알리는 자보를 붙였다”라며 “학생회 사업으로 ‘정치참여실천단’도 조직해봤지만 반응은 저조했다”고 덧붙였다.


장진경(법학·06)씨는 선거를 할 예정이나 아직 후보자로 누가·몇 명 등록됐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에 오기 전에는 수험 생활을 하느라 바빴고 대학에 와서는 과제와 학점을 챙기기에 바쁘다”고 말했다. 이은서(생명과학·06)씨 역시 “시험 기간이라 등록된 후보자를 신경 써서 볼 시간이 없었다”며 “아직은 대학생활과 정치는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했다.


부재자 투표에 대한 홍보가 학내에서 잘 이뤄지지 않은 점도 학생 참여를 저하하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학교 근처에서 하숙하는 권윤희(환경공학·06)씨는 부재자 투표 신청 기간을 놓쳐 서대문구에서 투표할 수 없게 됐다. 그는 “집이 강릉이라 선거를 위해 내려갔다 오기에는 부담이 된다”며 “정치에 큰 관심이 없으면 스스로 선거 날짜나 장소를 챙겨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대문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주 연세대 앞에서 선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을 두 번 진행했다. 3월31일(월)에는 등록금 인상 저지를 위한 촛불 집회에 참여한 대학생들에게 정책 선거를 부탁했다. 4월1일(화)에는 가수 원더걸스를 초청한 행사를 열기도 했다.


서대문구 선거관리 김경호 계장은 “촛불 집회에 참여해 보니 학생들은 정치보다 등록금 인상 반대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며 “자신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되면 소홀한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서대문구 구청에서도 투표 할 수 있으니 대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상아 기자 sangaLee@ewhain.net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