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전공자 시각으로 바라본 안티 페미니즘

이대학보 기자로부터 원고 청탁을 받고 많이 망설였다. 내가 여성학과의 대표주자인 것처럼 비치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하거니와, 글을 어떻게 쓰던지 간에 ‘이대 = 여성학 = 꼴페미’라는 등식을 강화시킬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우려와 망설임에도 불구하고 글을 쓰는 이유는 누군가는 어떤 식으로든 말해야하는 문제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경희대 총여학생회가 노교수를 성폭력 가해자로 몰아세웠다는 이유로 총여학생회 홈페이지에 대한 사이버 테러와 함께 인터넷 상에 회장단의 사진이 범죄자 사진처럼 공개되는 일이 발생했다.

연세대 총학생회는 총여학생회가 ‘극단적인 페미니즘’으로 남녀학생들의 외면을 받는다는 이유로 총여학생회 폐지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러한 안티 페미니즘의 주장도 가지각색인데 ‘사이비 된장녀 페미니스트’라는 원색적인 비난부터 ‘평등권’이나 ‘역차별’을 문제 삼는 다소 논리적인 대응까지 그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언론에서는 갑자기 안티 페미니즘이라는 경향이 나타난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지만, 사실 이는 그다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우리보다 페미니즘운동이 먼저 발달한 서구의 여성 운동사를 보더라도 항상 페미니즘에 대한 남성들의 반발은 있어왔으며, 한국에도 몇 년 전 ‘군가산제 폐지’를 두고 안티 페미니즘 주장이 들끓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조한혜정 연세대 교수(사회학과)는 “과거 남성우월주의를 정상으로 생각하는 남성들이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 진출에 대해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다”면서 “사회운동에서 나타나는 기득권의 반발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대세를 거스를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때, 비난의 화살을 돌릴 상대를 찾아 심리적 보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안티 페미니즘의 경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나는 안티페미니즘 논쟁을 보면서, ‘교수가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총여학생회의 주장이 사실이었다고 하면 안티페미니즘이 친(親)페미니즘이 될 수 있었을 것인가?’에 대해 의문스러워졌다.

과연 연세대 총학생회가 말하는 ‘극단적인 페미니즘’이란 어떤 것이며, ‘극단적이지 않은 페미니즘’은 어떤 페미니즘을 말하는가?

어쩌면 문제의 핵심은 성폭력의 진위여부를 둘러싼 공방이나 ‘극단적인 페미니즘’ 판단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별 구분과 위계화, 이에 기반을 둔 젠더 체계라는 더 깊은 뿌리를 가진 것이 아닐까?

안티페미니즘이냐 친(親)페미니즘이냐를 따지기보다 각각의 주장이 어떠한 맥락에서 전개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페미니즘’이란 고정된 어떤 것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사회적 조건 하에서 형성되는 것이고, 각자가 주장하는 ‘페미니즘’의 내용도 다를 수 있는데, 구체적인 맥락을 따지지 않고 찬성/반대로 논쟁을 벌이는 것은 소모적인 논쟁이 되거나 감정적인 대응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안티페미니즘에서 주장하는 ‘페미니즘’과 내가 생각하는 ‘페미니즘’이 같은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페미니즘을 지지하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그렇다고 말할 것이다.

세상에 시행착오가 없는 일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이러한 시행착오와 실패를 성찰함으로써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일이지, 페미니즘 자체를 폐기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은심(여성학 전공 석사 3학기)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