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김하영 기자

“그냥 하면 됩니다. 안 되면 또 하고 그래도 안 되면 또 하면 됩니다.”

국내 최초로 ‘바이놀 유도체’를 발명한 김관묵 교수(나노과학 전공)와 박현정(나노과학부 전공 박사과정)씨의 연구 철학이다. ‘바이놀 유도체’는 L­아미노산의 95%이상을 D­아미노산으로 변환시키는 유기화합물이다. 이번 연구로 인해 의약품 물질로 쓰이는 D­아미노산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결과는 지난 26일 ‘사이언스’지의 하이라이트(High Light)논문에 게재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성공적인 연구의 힘은 오로지 하나. 3년 동안 매일 밤 10시까지 우직하게 연구실 불을 밝힌 성실함이다.

그들의 인연은 3년 전 한국과학기술원(KIST)에서 시작됐다. 당시 김 교수는 선임연구원으로 D­아미노산을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었고 학부생이었던 박씨가 연구생으로 함께 일하게 됐던 것. 그 후 2004년 본교로 연구 장소를 옮겨와 자연 상태의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변환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포기’라는 장애물이 존재했었기에 더욱 빛을 발했다. 계속 되는 노력에 비해 성과가 없어 연구 중단이라는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논문 한 편 못 써보고 끝나는 줄 알았죠. 하지만 한 명이 포기하고 싶어지면 다른 한 명이 연구에 더 열정적으로 임했습니다.”김 교수는 힘들 때 일어설 수 있었던 원동력이 학생이었다고 말했다. 인터뷰 내내 교수와 학생의 끈끈한 정으로 연구실은 훈훈했다.

원하는 실험 결과가 나왔을 때 기분이 어땠느냐고 묻자 아무 말 없이 마주보며 계속 웃다가 김 교수가 말문을 연다. “그 맛이 사람을 중독되게 한다니깐요.”연구에 성공했을 때 맛볼 수 있는 전율 감에 중독된 김 교수와 박씨는 오로지 한 연구를 위해 3년을 달려왔다.

“과학 연구는 시행착오가 많은 분야인 만큼 요령을 피워선 안 돼요. 실패와 좌절을 받아들이고 극복해 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김 교수의 말을 이어 박씨도 “연구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고 몸으로 하는 거예요. 생각해 본 것은 하나도 안 빠뜨리고 다 실험해 보는 자세가 중요하죠.”라고 말했다. 힘겨운 성공 결실의 맛을 진정으로 느껴본 그들은 오늘도 묵묵하게 연구실을 지킨다.

이상아 기자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