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퍼트·이룸, 정책공청회서 공약 이행 계획을 답하다

2025-11-23     김수민 기자

제58대 총학생회 선거 정책공청회가 열렸다. 공청회에서는 두 선거운동본부 ‘스퍼트’와 ‘이룸’이 제시한 공약의 이행 계획과 총학생회로서의 자질을 묻는 질문이 오갔다. 

20일 교육관A동 202호에서 제58대 총학생회 선거 정책공청회가 진행됐다. 공청회는 중선관위 공통질문과 학생들의 자유 질의로 구성됐으며 두 선거운동본부 스퍼트와 이룸은 공약 이행 계획 관련 질의에 답변했다. 채의정 사진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선관위)는 각 선거운동본부(선본)의 공약 중 스퍼트의 채플 수업 개선과 이룸의 신규 수익사업 개발 공약을 짚었다. 중선관위가 스퍼트의 채플 의무 이수 학기 축소 공약의 실행 방안을 묻자, 스퍼트 정예진 정후보는 타대 사례와 학생 의견을 바탕으로 △학점 부여 여부 △의무 이수 학기 △러닝타임 세 요소를 함께 논의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겠다고 답했다. 이룸에는 학교법인 이화학당의 주요 수익원이 부동산에 한정된 상황에서 신규 수익사업 개발 공약의 구체적인 계획을 묻는 질문이 나왔다. 이룸 신채린 부후보는 “학교가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 중 기부금, 연구비 확충과 더불어 가장 좋은 방식”이라며, 먹거리 사업과 여성 전문 교육 플랫폼을 신규 수익사업 개발 방안으로 제시했다.

각 선본의 답변에 대한 추가 질의도 이어졌다. 스텝업에서 국장직을 맡았던 스퍼트 정·부후보에 이전 총학생회(총학)에서 이행되지 못한 장학금 공약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스퍼트 오민서 부후보는 “이화인 의견 수렴과 단과대 특성화 장학금 확대를 준비 중이며, 정기협의체 내 재정팀을 신설해 학내 재원과 사용처를 명확히 파악하겠다”고 답했다. 이룸 신 부후보는 4자 간담회 정례화 공약과 관련해 “지난 총장 간담회에서 요구안의 실질적 논의가 이뤄진 만큼, 정례화된 4자 간담회가 형식화되지 않도록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시 자유 질의 시간이 부족해 학생 요구안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나오자 신 부후보는 “사전에 안건을 미리 공유하고 답변 책임을 반드시 요구하는 구조적 개선을 이끌겠다”고 전했다.

14일 우리대학 정문에서 제 58대 총학생회 선거운동본부 ‘스퍼트’(왼쪽)와 ‘이룸’(오른쪽)이 정문선거유세를 진행했다. 변하영 · 정영인 사진기자

자유 질의에서는 총학의 태도와 가치관을 묻는 질문이 중점이었다. 스퍼트 정 정후보는 “학생들이 제기하는 비판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비판도 학생 의견의 일부이므로 열린 자세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답했다. 이룸 최현서 정후보는 “학생 대표자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전체 학생을 대표해 학생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고민하며 앞장서는 자리”라고 말했다. 이룸에는 소수자와 비건 의제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의도 제기됐다. 이룸 신 부후보는 “모든 이화인들이 배제되거나 차별당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차별을 당한다면 교내 인권센터와 협력해 해결하겠다고 답했다.

중선관위가 제시한 공통질문인 학점포기제와 전임교원 확충의 구체적 실행 계획에 대해 두 선본은 지속적인 요구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스퍼트 정 정후보는 “‘이화인 요구안 실현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겠다”며, 학점포기제를 조건부 시범 도입 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임교원 확충과 관련해서는 “충원이 점진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총장의 관련 공약도 있어 실현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요구와 모니터링을 강조했다. 이룸 최 정후보는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거와 데이터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학점포기제 신청 학점과 대상 교과목 범위 등 세부 조건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학교와 타협점을 찾겠다”고 밝혔다. 전임교원 확충에 대해서는 목표 확보율을 설정해 공개하고, 퇴직 규모와 학과별 수요 등을 검토해 질적 충원을 요구하겠다고 덧붙였다.

공청회는 20일 교육관A동 202호에서 진행됐다. 공청회는 △정책 발제 △중선관위 질의 △자유 질의 순으로 진행됐다. 총학 투표는 26일(수)부터 27일(목)까지 단과대학별 기표소에서 기표식 용지 투표로 진행된다. 휴학생과 교환학생, 졸업 유예생을 제외한 모든 재학생이 투표권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