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 '채티' 이용률 저조... 실효성에 의문 제기돼

2025-11-16     박희원 기자

우리대학은 챗봇 Chat-E를 운영 중이지만, 학생들의 이용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비생성형으로 운영돼 타 생성형 AI 챗봇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대학가에서는 홈페이지 내에 생성형 AI 챗봇을 도입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여러 대학에서 적용하기 시작한 생성형 AI 챗봇은 행정 효율성과 연구 보조를 목표로 한다. 우리대학은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챗봇 기업 와이즈넛이 구축한 Chat-E(채티)를 도입했다. 채티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학사 행정 문의에 자동으로 답하는 지능형 대화 서비스다.

건국대 ‘AI KU’와 우리대학 ‘채티’의 동일 학과 졸업요건에 대한 답변. 출처=건국대 홈페이지(왼쪽), 우리대학 홈페이지(오른쪽) 화면 캡쳐

채티의 답변은 타대의 생성형 AI 챗봇에 비해 정확성이 낮게 나타났다. 동일 학과의 졸업 요건을 물었을 때, 인공지능 챗봇 기업 마인드로직의 챗봇 ‘인포미’에 기반한 건국대의 ‘AI KU’와 숙명여대의 ‘AI 눈송’은 △졸업 기준 학점 이수 △학점 평점 △졸업논문 등 구체적인 정보를 알려주며 출처가 되는 페이지를 함께 안내했다. 반면 채티는 졸업을 원하는 학과 사무실의 전화번호와 위치를 알려주는 데 그쳤다. 대학생들이 자주 묻는 ‘수강신청 및 학사일정’에 대한 질문에도 타대 생성형 AI 챗봇은 해당 학년도의 확정된 일정을 안내했으나 채티는 ‘수강신청 기간은 2월 중, 8월 중에 진행되며 이수학기별로 신청일이 달라진다’고만 답했다. 정보통신처 정보시스템개발팀은 이에 대해 채티가 생성형이 아닌 비생성형 챗봇으로, 자주 묻는 것에 정해진 답을 하는 서비스만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채티는 타대 챗봇에 비해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보시스템개발팀에 따르면 채티에는 최근 1년간 3364명의 이용자와 3만6444회의 방문이 기록됐다. 월별로 수천, 수만 건의 이용 건수가 집계되는 타대 생성형 AI 챗봇 ‘틀루토 코파일럿’에 비하면 현저히 적은 수치다. 손예원(전전·25)씨는 “채티 서비스가 있는지 아예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대학 홈페이지 기본 화면 오른쪽 아래에 채티 배너가 있어 접속하자마자 이용할 수 있는 상태지만, 손씨는 “학교 공지사항과 장학금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우리대학 홈페이지에) 자주 접속하는데도 몰랐다”고 이야기했다. 틀루토 코파일럿은 인공지능 챗봇 기업 틀루토가 여러 대학에 도입한 AI 챗봇 서비스다.

타대에서 생성형 AI 챗봇을 이용 중인 학생들은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을 보였으며, 실제 이용률 역시 높았다. 숙명여대 김지원(한국어문·24)씨는 “학교 홈페이지에는 교원과 학생 모두를 위한 다양한 정보가 섞여 있어 어려움이 있다”며 숙명여대의 ‘AI 눈송’은 빠르게 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숙명여대 신아인(가족자원경영·24)씨는 “주변 학우들도 홈페이지 내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자주 활용하는 것 같다”며 타 생성형 AI들과 달리 “거짓 답변을 만들어내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실효성 있다”고 덧붙였다. 틀루토 코파일럿의 경우 지속적으로 이용률이 늘어나는 추세다. 틀루토 박소원 매니저는 한 달에 몇천 건부터 몇만 건까지 이용률이 다양하게 분포돼 있다며 꾸준하게 이용되는 중이라고 전했다.

현재 우리대학에서는 생성형 AI 기술의 도입을 통한 채티의 개선 방안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정보시스템개발팀은 “서비스의 정확도 향상과 활용 범위 확대를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응답 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용자의 질문 의도와 맥락을 이해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로 발전시키겠다는 것이다.

△숙명여대 △서강대 △서울대 등 약 30개 대학에서는 마인드로직의 챗봇 ‘팩트챗’과 ’인포미’를 도입해 사용 중이다. 마인드로직은 챗봇에 각 대학의 홈페이지 내용을 모두 숙지시켜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천대 △건국대 △서울예대 등의 도서관에서는 틀루토의 연구 보조 챗봇 틀루토 코파일럿이 활용되고 있다. 코파일럿은 학술 논문을 기반으로 연구 전반에 도움을 제공하며 대학 및 기관에 특화된 일반 질문에도 답변하는 챗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