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치러진 제 17대 총선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포함해 총 39명의 여성이 당선됐다.

이는 전체 의석의 13%에 이르는 것으로 5.4%에 불과했던 지난 16대 국회에 비하면 괄목할만한 성과다.

사실 이는 북유럽국가 평균인 40%와 중국의 21.8%, 북한의 20.1%에 비춰보면 아직도 미약한 수치다.

특히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여성임을 감안할 때 아직도 정치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내기란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총선은 여성의 정치 참여에 한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제 이번 총선을 계기로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차세대 여성정치인 양성 등의 근본적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여성 정치인들은 각 당이 총선 여성공약에서 밝힌대로 여성예비정치인 양성기구를 상시 운영하도록 촉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 여성예비정치인 양성은 정치적 발전가능성과 역량이 있는 여대생에 대한 체계적 지원으로 이어져야 한다.

아직도 여대생들은 같은 조건의 남성들에 비해 취업과 지원 등 여러 면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

이런 토양에서는 많은 여성 지도자가 탄생하기 어렵다.

또 정당의 각 조직체계에서 여성들이 의무적으로 30%이상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각 정당은 17대 총선 여성공약으로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보육정책과 모성보호정책, 양성평등 가족정책 등을 세밀하게 제시했고 그 외에도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에 대한 차별 철폐와 보호, 여성 일자리 창출 등을 약속했다.

이 공약을 이행하는 1차적 주체는 당연히 여성 당선자들의 몫이다.

이번 총선은 부정부패 청산과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국민의 염원이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에서 진행됐다.

17대 총선 결과, 지난 16대 국회에 비해 두 배 이상 여성의 국회 진출이 확대된 것은 상대적으로 여성들이 깨끗한 정치·화합의 정치를 할 수 있으리라는 국민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지금처럼 여성정치인에 대한 사회적 필요와 기대가 높아졌을 때 여성 정치인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여성의 참여가 평등과 상생의 정치를 이끌어내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