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도 입시부터 석박사 통합과정이 실시되고 정책과학대학원과 새로운 연구과정이 신설되면서 본교 대학원이 개편됐다.

이는 대학학부에 학부통합과정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른바 연구중심의 대학으로 이행하는 단계 중 하나로 보인다.

연구중심의 대학은 대학의 기능화·특성화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 본교의 경우 95년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시작했다.

연구중심 대학체제를 위해 지난 8월 발표된 ‘21C비전과 전략’에 따르면 98학년도에는 학부 학생의 수가 75명 줄어들게 된다.

연구중심 대학의 긍정적 취지는 여러번 얘기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 4백여개의 대학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깊이있는 연구가 부족했음을 인식하고 대학원을 강화해 연구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은 환영할만한 일이었다.

그러나 대학원의 개편안이 발표된 지금, 학부제의 졸속시행이 떠오를 수 밖에 없다.

학부제는 실시한지 2년이 다 돼가는 현재에도 매 시기마나 커리큘럼의 부재나 ‘행정편의주의적’시행으로 인해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연속성을 침해하지 않기 위해 석박사 과정을 통합하고 여러 제도를 개편한 지금의 발표도 같은 선상에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대학원생의 머리수만 늘린다고 해서 연구의 질이 개선될 것인지 의심스러우며 신설된 정책과학대학원의 각 과정들 등의 커리큘럼이 제대로 갖춰진 것인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대학원 강화라는 취지는 높이 살만하며 아직 실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부제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은 한낮 기우일 수도 있다.

그라나 98학년도가 바로 눈앞에 닥쳐왔고 해당 대학원생들도 ‘해봐야 안다’는 식으로 눈치만 보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다시금 점검해봐야 할 일이 있다.

그것은 우리가 나아가려는 연구중심대학이 우리가 갖고 있는 제반여건들의 현실적 교려속에서 나온 것인가에 대한 문제다.

정부의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각 대학다 앞다투어 연구중심의 대학으로 가겠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은 문제점을 더욱 부각한다.

연구중심대학의 긍정성을 인정한다면 그것을 위한 기반들을 착실히 닦는 모습이 더욱더 요구되는 때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