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승리의 6.10을 계승해야 강경대군 죽음 이후, 이에 항의하는 분신이 잇따르면서 5월 정국은 한치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더우기 한진중공업 노조위언장 박창수씨가 숨진 사건이 발생하고 곧이어 공권력에 의한 시신탈취와 강제부검이 자행되면서 노동자들의 분노의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들불처럼 확산되고 있다.

현 정세는 단지 「몇명의 죽음」이라는 표면적 계기로만 설명될 수 없다.

최근 살아오르는 투쟁의 분위기는 그간의 수서나 페놀, 원진사태 등에서 민자당이 보여주었던 폭력성, 부정부패, 민생파탄에 대한 각계각층 대중들의 분노등이 종합되어 강군타살사태를 계기로 집중 표출되는 것이다.

마치 이제 제동을 걸 수 없는 기차가 달려가듯 폭발적인 상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잇달은 죽음과 죽음 속에서 계속적으로 정부는 기만적이고 발빠른 사후조처 등으로 상황의 본질을 왜곡 축소시키면서 현정권의 속성을 극명히 드러내고 있다.

200여명의 국보법의 양심수를 양산한 정부가 IPU총회와 남북의 통일탁구 등으로 국민의 시선을 돌리면서 내무부장관 1명의 기만적 대체와 백골단의 「옷만 바꿔입기」식의 형식적 개선의 미봉책으로 무마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바로 천세용 학우가 「해체 민자당, 타도 노태우」를 외치며 분신사망한 날에도 민자당은 국회에서 국가보안법, 경찰법의 기만적 법안들을 날치기로 통과시키고 있었다.

살인을 낳은 사회, 정권의 구조나 제도에 대해 언급하나 없다.

최루탄이 있을 뿐이다.

더우기 권력과 영합한 제도언론까지 동원하면서 「운동권은 죽음을 이용하지 말라」「분신의 배후조종세력 있다」는 식의 상식 이하의 논리를 펴고 있다.

보수야당의 작태는 어떠한가. 「장외투쟁자제, 노정권퇴진불참」등을 반복하면서, 민자당과의 타협 속에 광역의회선거와 지자제 지분얻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이 그들의 실상이다.

6월을 앞둔 오늘의 모습은 87년 박종철·이한열 열사의 죽음이 「호헌철폐」의 함성으로 하나되었던 6.10 국민항쟁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은 명확히 기억한다.

6월 항쟁 당시 기만적 6.29선언을. 올해 초 수서비리로 위기일발일 때 기초의회로 투쟁의 열기를 무마시켰던 것을. 이제 국민의 뜻을 최루탄과 쇠파이프, 폭력으로 억눌러야 유지되는 정권이라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음은 자명해진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