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많은 친구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학기중에는 우리의 학우들이 크고 작은 시위에서 화염병과 국가보안법으로 구속되더니, 시위가 잠잠한 방학기 되자 각 대학언론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언론에 대한 정부의 탄압은 새삼스러울게 없으나 89년, 문교부의 기만적인 「5.6조치」이후 대학언론에 대한 탄압은 더욱 노골화되고 장기적인 전망(?)속에서 자행되고 있다.

수십만권의 교지가 정권의 구미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포조차되지 못하고 썩어가고, 수십만부의 신문이 독재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위협한다는 이유 하나로 제작조차 봉쇄당하는 가운데 지난 7·8월 사이 탄압받은 언론사는 이미 서울지역 전체대학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현재 자행되는 대학언론에 대한 민자당의 간악한 탄압책동은 때론 고대신문처럼 학교당국과 힉생기자 간의 대립으로 비쳐지기도 하며, 한성대처험 국가보안법이라는 족쇄에 의한 직접적 탄압으로, 부산대처럼 체제개편을 통한 구조적 탄압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학교측을 이용한 탄압은 문제의 촛점을 학교와 학생간의 대립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싸움을 장기화시켜 기자들의 역량소모를 극심하게 한다.

이러한 대학언론 탄압 기조의 공통된 흐름은 학생운동 탄압의 일환으로 자리잡아 나간다는 것인데, 대학언론의 운동성이 실천적으로 변모하면서 선전활동이 학내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위축시켜 대중과의 결합력을 낮추려는 것이 그 본질이다.

대학 언론의 기사를 빌미로 청년학도의 귀와 입을 막고 손발에 족쇄를 채우는 정권측의 탄압은 날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물리력 또한 엄청나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올바르게 대응한다는 것은 대중들의 강력한 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대학 언론 탄압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 우리들의 대응도 점거농성 계획이나 한차례의 집회등 감정적인 일회성 대응이 아니라 장기적인 전망속에서 나와야 할 것이다.

학우대중을 결집시키고 묶어 세울 수 있는 대중결합방식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대학언론 선전 일꾼들이 뭉칠때, 지배 이데올로기를 타파하는 자주·민주·통일 언론의 필봉은 강고하게 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전이 되면 옥상에서 육성으로 방송하는 것이 대학 언론인의 사명 』이라고 믿고 실천하는 세종대 언론동지들의 투쟁을 되새기고자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