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6대 총학생회장 김경희(보교·4)

지난 주, 각종 언론은 이화여대 모교수에 대한 기사를 일제히 실었다. 우리 학교 교수가 국가의 연구비로 지급된 돈을 개인적으로 유용한 사실이 학술진흥재단의 조사과정 중 밝혀졌다는 것이다. 제자들 인건비 명목의 연구비를 허위로 등록하고, 조교에게 지급되는 30만원의 인건비 중 20만원을 반납받는 형식으로 유용했단다. 이미 고려대·연세대 등이 연구비 불법 유용으로 적발된 바 있다. 또 다시 같은 문제가 터지자, 뒤늦게 ‘교육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대학 연구비 관리실태를 조사·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중’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이대 교수의 이름이 언론에 거론된 것이 올해만 몇 번째다. 올해 초 입시 비리 사건을 시작으로 쿠데타 발언, 최근의 연구비 유용 사건까지. 연구비 불법 유용에 대해 여러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학교의 등록금 인상 근거에 대한 문제제기로 풀어보고자 한다. 해마다 학교가 말하는 등록금 인상의 가장 큰 요인은 인건비다. 올해 예산만도 인건비에 88억의 추가예산을 잡았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등록금 인상분으로 충당한다. 학교는 학생들의 등록금을 더 받아 좋은 교수를 충원해야 한다고 한다. 그 근거에는 좋은 교수를 충원하면 국가에서 연구비가 많이 나와 학교 재정이 탄탄해진다는 논리도 들어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으로 교수 연구비 사용의 투명성은 보장 받기 어렵게 됐다. 덕분에 학교는 등록금 인상의 근거 하나를 잃었다. 일부 교수의 문제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화 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탕이 형성돼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신뢰감은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이화’라는 이름이 좋은 뉴스로 많이 알려지길 바란다. 학부모·학생의 가계형편을 고려해 등록금 동결방침을 밝힌다든지, 교수·학생이 하나가 돼 상업화를 막고 교육환경을 수호했다는 뉴스라든지. 학생들에게 희생과 헌신을 강요하는 학교, 제자들의 인건비까지 희생과 헌신이라는 이름으로 착복할 수 있다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연구비가 다른 대학보다 조금 들어온다면서 정작 들어온 연구비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는 신경쓰지 않는 학교. 정신차리고 반성해야한다. 조속하고 공정한 해결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