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문명이래 조용한 호수로 상징되는 지중해가 유럽대륙과 중동지역국가들간의 전통적인 정치경제관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개혁과 근대화를 이룰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왜냐하면 유럽 강대국의 발판이었던 중동지역의 필요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9·11사태 이후 절대적 지배세력인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전략이 이들 지역에 뿌리를 내릴 수 있을지가 새로운 관심거리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은 빈 라덴이 이끈 알 카이다 등이 자행한 국제 테러를 제거하기 위해 아프카니스탄·이라크전을 벌였다.

여기서 승리를 거둔 미국이 과연 대 중동 민주화 구상을 앞당겨 미국 주도의 중동국가 재편성을 가능케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첨예화 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유럽연합(EU)·미국·중동지역 국가들 간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세계경제질서에 대해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는 전후에도 중동국가의 지배와 통치를 계속했으나 프랑스의 나세르 전 대통령에 의해 1956년 이는 종지부를 찍었다.

이후 냉전체제 아래서 등장한 미·소의 세력은 오늘날까지 팔레스타인·이스라엘간의 분쟁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없이는 중동지역의 평화를 보장할 수 없고 어려움만 가중시켜, 서방 국가들에 의한 분쟁으로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중동국가들은 내부적으로 정치체제·사회제도의 상이성 때문에 막대한 양의 석유 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난과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각지대인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인권마저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상황 에서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대 중동민주화구상은 ‘테러리즘의 붕괴’라는 명분아래 팔·이 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이스라엘의 독립보장을 지속시키는 것이며 부시 네오콘의 유지가 가능할지를 대선에서 테스트 받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EU를 견제하기 위해 중동을 활용할 수 있고 석유자원을 독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EU는 이런 미국의 중동민주화구상을 올 11월 대선을 향한 전략으로도 보고 있다.

어쨌든 미국의 일방주의 정책을 얼마나 막을 수 있을지는 이집트·사우디를 주축으로 한 핵심 중동국가들에게 달려있다.

아랍의 종교·정치·경제적 토대에서 사회 발전을 어떻게 달성하는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최근 리비아의 개혁개방은 시리아와 이란의 주의도 끌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중동문제 해결은 EU과 함께 UN의 이름으로 풀어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