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영어관련 정책

“영어 상표를 쓰면 상품 판매가 금지된다?!” 그럼 수많은 상품들은 어떻게 될까?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이는 우리 나라의 일은 아니다.

탈냉전 이후 자본주의 물결과 함께 밀려드는 영어에 맞서기 위한 폴란드의 정책이다.

세계적 언어인 영어가 폴란드어의 순수성을 점차 위협하고 있다는 생각이 폴란드 정부로 하여금 이런 정책까지 내놓게 한 것이다.

영어 광고문에도 폴란드어 설명문을 달도록 의무화했다.

이달부터 위반하면 벌금을 내거나 상품 판매 금지 처분을 받게 된다.

덴마크에 가보면 영어 회화에 익숙한 국민들을 보고 놀라지 않을수 없을 것이다.

초등학교 4학년때부터 영어 교육을 시작, 공교육만으로 영어교육에 성공한 케이스. 국내 텔레비전 방송에서 더빙하지 않은 드라마와 CNN과 같은 미국 뉴스 프로그램을 볼 수 있고 모든 영어 수업은 사범대 출신의 검증받은 영어교사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은 나라인만큼 영어를 통해 다른 나라와 교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국민 각자가 인식하고 있다는 것도 중요한 이유이다.

그런가 하면 싱가포르는‘싱글리쉬’추방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영어가 공요어임에도 불구하고 발음과 문법이 정확치 못했던 지금까지의 현실에서 엉터리 영어는 추방하자는 운동이다.

이름하여‘휼륭한 영어 사용하기 운동’. 외국인도 잘 알아들을 수 있는 영어 구사를 목표로 한다.

이에 실행위원회는 표준 영어를 사용하는 연극 공연, 표준영어만 사용하는 영어 연설대회, 군대 지휘명령시 표준영어 사용 등을 선정했다.

프랑스의 항공사‘에어프랑스(Air France)’는 공항 관제사와 교신할 때 불어가 아닌 영어를 ㅏㅅ용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불어에 대한 프랑스의 자존심보다 항공 안전을 우선시한 데 ㄸK른 것이라고 전한다.

그만큼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표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보다도 더 영어에 민감하 ㄴ일본은 자존심을 버려가면서까지 생존전략을 논의하느라 온통 난리다.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국민이기 위해선 영어 공용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선진국 일본에서 나오고 있다.

유치원에서부터 영어교육을 의무화하는 것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본 IBM 사원들은 일정점수 이상의 토익점수를 받지 못하면 승진의 기회조차 얻을 수 없다.

이제껏 그래왔들이 몇 년의 차이를 두고 일본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닮아가는 우리나라. 이런 모습 역시 앞으로, 어쩌면 이미 눈앞에 보여지고 있는 우리 현실인 것일까?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