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나라의 체계적·구체적 대응마련이 시급하다.

중국은 이미 20년 전부터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고구려사가 중국사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계획적으로 진행해 왔다.

더욱이 2002년 2월에는 동북 지역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학술 작업인 동북공정을 대형 국책사업으로 지정해 고구려사 편입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고구려 역사 지키기 시민연대 문성근 사무차장은 “동북공정은 단순한 학술작업이 아닌 동북아지역의 정치·경제패권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며 중국의 패권주의를 비판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수수방관적 태도와 늦장대응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

지난 해 7월 중국의 동북공정사업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정부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정부는 관여할 일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다 이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자 지난해 말 ‘고구려 문화 센터’설립을 준비하는 등 부랴부랴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우리 나라 학계 역시 그간 고구려사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하지 못해 중국의 역사왜곡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구려 문화 재단’ 이이화 상임고문은 “현재 국내에 고구려사를 전공한 학자는 10명 안팎”이라며 “1970·80년대 북한과 조금만 연관되면 빨갱이로 몰리는 시대적 상황은 고구려 역사를 연구하는데 큰 걸림돌이 됐다”고 말했다.

이같은 정부와 학계의 미흡한 대응방식은 우리 민족의 근간을 이루는 고구려사를 중국에 빼앗길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고구려 연구회’ 서길수 원장은 “이번 문제를 계기로 지금부터라도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고구려사를 연구해야 하며 온 국민이 역사의식을 갖고 고구려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