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19일(목) 16대 대통령선거(대선)에서 대학생 유권자들은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20대 유권자는 약 9백만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24.8%를 차지하지만 15대 대선 때는 이들 중 2백3십만명이 참여하지 않았다.

지난 대선 때 1·2위 후보자의 득표차는 39만표에 불과했고, 지난 1209호 본지를 통해 보도된 4개 대학 학생들의 대선 후보 지지도가 노무현·정몽준·이회창의 순으로 조사돼 일반 유권자를 대상으로 일간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와 비교적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것을 감안할 때, 대학생 유권자들이 투표에 참여할 경우 대선 결과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대학생들이 투표에 참여한다는 전제 하에 성립되는 문제다.

이는 이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과 연결된다.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20대 유권자의 참여는 30%에도 못 미쳤으며, 97년 15대 대선에서 대학생 부재자 투표율이 약 54만명의 6.5%인 3만5천여명에 그쳤다.

이에 20대의 정치적 냉소를 타파하고 20대 스스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있다.

대학 교내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해 대학생들의 투표율을 높이자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

지난 30일 ‘2002 대선유권자연대’ 등 젊은 층의 투표 참여 운동을 벌이는 대학생·교수 등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선관위)를 방문해 대학 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건의했다.

이에 중선관위 측에서 ‘법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러가지 조건을 검토해 보고 예산 내에서 최대한 설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 고려대와 연세대 등은 대대적인 부재자 신고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우리 학교 총학생회도 몇몇 동아리와 연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서울지역 정외과 연합학회 중심으로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참여 활성화를 위해 결성된 ‘Univoters’의 함현호(서울대 정외과·4) 대표는 “이는 이번 대선 때 6십만 명으로 추정되는 대학생 부재자들의 표가 사장되는 것을 막고, 궁극적으로 정치에 대한 대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번 일이 성사되면, 그간 군부대나 시·구 등 일부 제한된 곳에서 실시되던 부재자 투표가 최초로 대학 교내에서 행해진다.

전국대학교수회 등 7개의 교수단체·300여개의 시민단체로 꾸려진 ‘2002 대선 유권자연대’·‘대학언론인운동본부’는 지난 6일(목) 서강대에서 ‘대학생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토론회를 열어 대학생들의 정치참여 의미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이 날 사회를 맡은 중앙대 신광영(사회학 전공) 교수는 “정치를 나이 든 사람들만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유럽에는 20대 국회의원도 있다”며 “선거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므로 젊은이들의 참여는 필수”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국민대·상지대·서울여대 등 10여개 대학생들로 구성된 ‘참대학유권자운동본부’는 부재자 투표 운동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정치 참여를 위해 대학별 강연회 및 캠퍼스 투어를 실시하고 있다.

또 사병 월급의 현실화나 생리대 부가세 인하 등의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대통령후보 공개질의를 할 예정이다.

우리 학교 총학생회 김현지 연대사업국장도 “각 정당의 정책을 비교해 알리고, 대선후보 모의투표 등을 통해 이화인의 정치적 관심을 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리 학교 김수진(정치외교학 전공) 교수는 “젊은이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의무를 다 하고자 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라며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살아갈 터전을 꽃밭으로 가꾸는 것은 기성세대가 아닌 우리의 몫임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