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대학생 교류의 역사, 필요성 및 바람직한 방향

2011년 4월9일. 오늘은 김일성종합대학 우리역사탐방단과 함께 고구려 옛 무덤을 찾아가기로 한 날이다.

지난주엔 그들과 함께 종로에서 ‘독도는 우리 땅’ 캠페인도 벌였다.

그들과 연대해 앞으로도 우리 역사 바로찾기 운동을 펼쳐나갈 생각이다.

× × × 지난해 열린 남북 정상회담은 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남북 교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됐다.

이와 함께 남북 대학생 간의 교류에 대한 기대와 관심도 높았는데…. 지난해는 어느 때보다 많은 대학에서 방북단·방북기자단이 꾸려진 해였다.

하지만 직접 북한을 방문한 사례는 없었다.

우리 학교에서 ‘해방이화 통일방북 문화유적답사 추진위원회’가 구성돼 120여명이나 되는 이화인이 답사를 신청했지만 지금은 흐지부지된 상태다.

서울대도 학생대표와 교수들로 방북단을 꾸려 통일부의 승인까지 받았지만 북한의 초청장을 받지 못해 결국 방북은 무산됐다.

이렇게 일부에서는 대학생 교류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통일에 무관심하고 교류에 대한 공감수준이 낮다.

이에 대해 박준영 교수(북한학 전공)는 통일이 되면 러시아, 중국, 미국, 일본과 접촉하며 강력한 국가를 이룩할 수 있다며 통일을 위해 “미래를 짊어지게 될 청년층의 교류가 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친구와 친해지는데도 상대방의 장·단점을 알아야 하듯, 중요한 것은 우리가 북한에 대해 잘 알고 직접 가서 그들과 만나는 것이다.

작년 전국대학신문기자연합 방북취재 공동기자단 단장이었던 서울여대 이보영양(경제·4)은 “대학생은 이해관계가 없는 순수하고 진보적인 집단”이라며 대학생 교류와 다른 교류들과의 차별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생 교류를 막는 걸림돌이 사회 곳곳에 아직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은 북한을 적으로 규정하는 국가보안법. 작년 우리 학교에서 통일방북 문화유적 답사단을 모집했던 고윤선양(제약·4)은 “김대중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것 자체도 국가보안법 위반”이라며 법의 시대착오성을 꼬집었다.

정부 주도의 남북 교류정책과 ‘누구는 가고 누구는 못가는 식’의 선별적 교류, 창구단일화 정책 또한 남북 대학생 교류를 제지하는 걸림돌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걸림돌은 북한에 대한 잘못된 시각과 반공·반북의식이다.

서울대 이민규 통일방북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북한 대학생과 교류하기 위해서는 우선 북한을 ‘통일의 동반자’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이유로 마련된 ‘북한 바로알기’사업의 하나로 서울대 총학생회는 16일(월)∼17일(화) 주체사상 토론회를 개최한다.

서울대 통일방북 추진위원회도 3일(화)∼12일(목) 북한의 여성, 경제 등을 주제로 통일 강연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북한 바로알기가 교류의 첫걸음인만큼 남북 대학생 교류는 소모임 등과 같은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점에 많은 이들이 공감한다.

이런 만남을 바탕으로 나아가 통일에 대한 논의도 차츰 이뤄질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다.

또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의 교류 활성화도 간과해서는 안될 사안이다.

곧바로 ‘통일하자’라고 말하기엔 50년 넘게 떨어져 서로에 대해 모르는 것이 너무나 많은 남북 대학생들. 서로를 ‘제대로’ 알아가는 과정이 바로 성공적인 교류의, 또 통일의 지름길이다.

이주영 기자 nanna82@ewha.ac.kr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