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도시는 연막탄이 터진 밀실과 같다.

숨을 쉴 수가 없다.

’광화문 거리에 서 있는 이순신 장군이 산소 마스크를 썼다.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도심 한 복판에서 이순신장군의 절규가 들려오는 듯, 공해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환경단체의 시위는 우리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최근 우리 시위문화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80년대 최루탄과 돌멩이, 발길질이 오가던 이른바 ‘데모’가 이른바 사이버 시위, 퍼포먼스, 문화제 등의 형식으로 탈바꿈하려 한다.

치영한 투쟁, 대로는 과격하기도 했던 시위에 익숙한 세대에게는 지금의 분위기가 낯 설게 느꺼질 법도 하다.

넓게는 사회 전반에 대한 모순, 좁게는 개인의 권리 침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위가 파생된다고 볼때 시위문화는 당시의 사대적 상황을 반영한다.

즉 시위문화 변화도 시회의 변화양상과 먁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PC통신, ㅇ니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사이버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사이버 시위는 작접 집회에 참가하지 못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컨퓨터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위사를 밝히거나 행사에 참여할 수 있어 그 영향럭의 범위는 매우 넓다.

본걱적인 시이버 시위가 등장한 것은 96년 대 말, 노동법·안기부법 개악에 대응해 총파업을 진행할 때 지지 여론을 확산시켜보자는 취지로 시작한 정보통신 운동이 계기가 됐다.

홈페이지에 블랙리본 달기, 게시판에 글을 올릴때 [파업지지]라는 말머리 다릭, 홈페이지 가맣게 만들기 등 파업지지 의사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돼ㅼㅏ. 최근에는 ‘지문날인 거부운동’, 투자협정 WTO반대 국민행동’등이 진행되 항의 메일 보내기, 서명운동, 배너달리기 운동 등 네티즌들의 참여오와 지지를 유도하는 통로가 다양하게 형성돼 있다.

이외에도 본격적인 ‘Anti Site’를 만드는 움직임도 일고있다.

‘Anti기아’, ‘Anti후지’등 불합리한 기업문화나 무책임한 서비스에 항의하는 네티즌들의 사이버 행동 네트워크를 형성,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연대를 모색하개된 것이다.

사이트기 개살되자 수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유사 피해 사례를 제보하기도 해 새로운 소비자 운도에 대한 통신인들의 높은 괸심을 보여줬다.

이에 대해 진보네트웍크 인터넷 사업 오병일씨는 “통신공간에서는 한 개인이라 하더라도 기업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사이버 시위는 직접적인 시위의 영향럭을 극대화 시키면서 의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반을 형성한다”고 말해따. 그리고 정치적 목적에서 행해지는 해킹 역시 사이버 시위의 한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고 전했다.

시위의 형태는 당연히 그 행사의 목적시기·참여자에 따라 달라져야한다.

그리고 온라인 시위와 적절한 상호 보완은 통해 진행될 때 시위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민주노총 쟁의국장 신현훈씨는 “사이버 시위는 사람들의 참여의 폭을 높인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지만 직접적인 시위의 보조 수단일 뿐”이라고 말해 아직은 온라인 시위가 소극적인 수단으로 인식 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총선시민연대 사이버 팀장 이경숙씨는 “통신인들의 비자발성과 즉흥성을 4·13총선까지 어떻게 몰고가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해 사이버 시위를 궁극적인 행덩으로 연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았음을 지적했다.

기존의 집회나 시위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총선시민연대는 ‘지역감정 조장 정치인 추방 퍼포먼스’를 진행, 지역감정을부추긴 인사들을 ‘유권자의 힘’씌여진 곤봉으로 내리치는 연기를 선보여 지나가던 시민들의 관심을 끌기도했다.

그리고 시위 후 가두행진 대신 자전거를 타고 거리를 달리는 경우도 있어 참여하는 사람도 시위를 즐길 스 있으면서 동시에 그들의 주장을 알려내는 효과를 거두기도 했다.

퍼포먼스 문화제의 형식의 시위가 확산되는 것은 참여인원은 적더라도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관심을 글 수 있는 시위도 의미가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관심분야가 다양해 지면서 의사의 표현이 다양해진 점도 원인으로 뽑을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을 두고 문화적·평화적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는 내용이 신문지면을 장식하고 있다.

하지만 시위문화의 변화가 사회모순의 해결과 시민의식 성장을 의미하는가에 관해서는 확신하기 힘들다.

정부가 평화 시위 문화 정착을 내세워 최루탄 사용을 저지하고 집회 시 여경을 투입시키고 있지만 이러한 정부의 대응책이 더 큰 물리적 충돌을 야기하고 피해자를 속출 시키고 있다.

민주노총 쟁의국장 신현훈씨는 “최루탄 사용이 감소한 현재, 물리적 진압의 가능성이 높아졌고 실제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피해를 입었다”며 정부의 진압 방식이 더욱 교묘해 졌음을 암시했다.

99년 11월 말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집회및 시위는 지난 98년에 비해 25%이상 늘어났다.

이는 우리 사회 민주화 분위기가 정착돼가는 과정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음을 의미한다.

시위문화가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지를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맥락에서 과거 과격 시위 일색의 문화가 변화하는 것이 무조건 긍정적인 현상인 양 괴대포장 될 소지가 다분하다.

올바른 시위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변화 자체에 초즘을 두는 것이 아닌 변화의 원동력·사회모순의 해결 양상 등 보다 근본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시위문화를 바라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