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찍을까?”선거 시기만 되면 우리를 괴롭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다.

한나라당 새정치국민회의? 어느 하나 뚜렷한 대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그리고는 쉽게 ‘거기가 거기지 아닌가’란 회의에 봉착하기도 한다.

결국 ‘나의 한표’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진 채 껄끄러운 선택을 하고 만다.

정치 견해의 다양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결국 선택마저 제한당하는 사회. 한국정치 현실을 진보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보수 일변도의 정치 현실은 진보정당운동이 금기시돼 왔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재벌 등 소수 기득권층의 이해를 대변하는 보수정당은 2∼3개씩 있어도 피지배층을 위한 진보정당은 법적·제도적 장치로 설립조차 힘들다.

이미 국가보안법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됐던 바 있고 학연·지연·당선가능성에 막연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1등만이 당선’되는 소선거구제 또한 보수정당의 보호기능을 해왔다는 것이 국민승리21 정책국장 이재영씨의 말이다.

그렇다면 역사적으로 돌아봤을 때 진보정당 건설의 걸림돌은 외부에만 존재했던가. 그건 아니다.

이른바 ‘시기상조’임을 주장하면서 ‘대연합론’을 주창한 목소리들이 그 걸림돌 중의 하나였다는 지적이다.

민중 독자적 지지기반을 확보하려하기 보다 정당의 목표인 정권획득을 보수야당에 의존하려 했다는 것이다.

현재 이들 세력의 대부분은 국민회의나 한나라당 등 보수정당에 입당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과거 진보정당 건설이 실패로 돌아갔던 가장 주요한 요인은 약한 지지기반일 것이다.

주요 기반으로 삼았던 노동자·민중 계급의 정치의식은 지역구도에 쉽게 휩쓸릴만큼 낮은 수준이었으며, 민주 대 반민주 대결은 커녕 ‘색깔론’논쟁의 대두는 일반 국민들을 ‘정치적 환각상태’에 빠뜨리기에 충분했다는 분석이다.

진보정당 건설은 과연 가망성이 없는 얘기인가. 89년, 94년 대선 당시 득표율에서 각각 43%와 27%를 얻어 명실공이 제1야당의 자리를 굳힌 브라질 노동자당. 물론 한국 정치구도에서 브라질 노동자당과 같은 형태를 대입시키려 한다는 것은 무모한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브라질은 적어도 진보정당을 얘기하는 것이 성공가능성 0%의 위험한(?) 발상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진 않을까.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