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언론진출 노동·경제문제등 기사내용침해 우려 높아 한국화약 「경향신문」인수에 이은 재벌진출 가시화 영남일보 친정체제구축·노조제약 단적인 예 한국화약그룹「경향신문」인수(90년8월)대농그룹「내외경제신문」복간(89년6월) 통일그룹「세계일보」창간(89년2월). 이처럼 중앙 일간지에대한 재벌의 진출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88년 언론 자유화조치와 90년 7월 14일 민영방송도입을 골자로 하는 방송법안의 통과로 이같은 「재벌의 언론진출」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어서 「언론의재벌예속」이 우려되고 있다.

60,70년대 시행된 경제개발계획으로 한국사회의 생산력이 증대, 물적토대가 형성되자 신문사도 타산업에 보조를 맞추어 점차 기업의 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특히 70년대 석유파동등으로 소비경제가 위축되자 소비촉직을 위한 광고가 빛을 발하면서 신문기업에 대기업들의 과다한 광고료 투자가 시작되었다.

이로써 신문기업과 다른 산업부분의 독점기업이 광고를 매개로 결탁하면서 광고수입이 신문기업의 수지구성에서 중요한 재원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1974년 동아일보사에서 발생한 광고사태는 이러한 근거를 뒷받침해준다.

동아일보사에서 언론노조가 결성되자 정부는 언론노조결성을 봉쇄하기위한 법률제정 감행뿐만아이라 동아리보사 관련 광꼬주에게 압력을 가해 해약사태를 유도했다.

이에 격분한 독자들은 격려광고 게재를 통해 「동아일보」의 투쟁을 지원했으나 결국 「언론인해직」이라는 결과로 끝맺음 되었다.

이를 통해 광고는 신문기업의 중핵을 이류는 재원인 동시에 정치권력이 이를 이용, 언론에 통제를 가하려는 주요한 수단임이 입증된 것이다.

아울러 광고수입의 증대로 인한 신문사의 투자가치의 확대는 타기업의 신문기업으로의 진출야기, 신문사의 소유형태 변화를 예고하고 있었다.

80년 벽두, 언론기관의 난립방지라는 명분아래 5공화국 정권은 44개 신문·방송·통신사에 대한 통폐합을 감행하였다.

이로써 경쟁대상이 되었던 여타의 언론사가 배제되면서 독점화상태의 언론사들은 별 「출혈」없이 권력의 비호속에 꾸준한 성장을 이룰수 있는 막이 열리게 되었다.

1979년을 기준으로 10년후인 1989년과 비교해 볼때ㅐ 통폐합조치에서 살아(?)남은 중앙일간지의 총자산액이 4배에서 25배까지 증가한 것만 보아도 언론사의 「온실성장」은 가히 짐작할만 하다.

지방지에 대한 재벌의 진출역시 예외가 아니다.

90년 1월과 4월에 대우그룹은 「항도일보」를, 롯데그룹은 「국제신문」을 각각 인수, 직접경영에 나서고 있다.

물론 80년대 신문발행부수의 증가, 신문지면 증가로 광고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다량의 광고를 유치하지 못하는 언론사는 영세성으로 말미암아 신문사를 지탱치 못해 결국 재벌에 인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롯데의 부산 「국제신문」인수 과정을 살펴보면, 기본의 사업영역 확장이라는 목적 이외의 또다른 의도하에 진행도니 것임을 알수 있다.

롯데가 거대한 비업부용토지를 보유하면서 서면등지에 백화점을 지으려는 사실이 보도되자 비판적 여론을 무마시키기위해 언론사를 인수하기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 이처럼 롯데의 국제신문 인수배경에서도 드러났듯이 기업본래의 「이윤추구」라는 의도이외의 「기업보호」와 「자사의 홍보수단」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리고 있음을 알수있다.

다수의 언론사가 생긱고 언론자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권력이 직접 언론에 군림하기보다는 본질적으로 이해를 같이 하는 재벌을 끌어들여 인사권을 이용, 노조활동의 절저한 제약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영남일보 파업의 배경은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해 준다.

언론통폐합조처이후 폐간, 88년 다시 복간되는 과정에서 대우그룹에 이은 대구의 섬유재벌 「갑을」기업에 경영권이 인수된 상태에서 「갑을」기업은 계열사인 「신한견직」사장을 대표이사겸부사장으로 하는 「친정체제」를 구축하고 노조위원장을 노조 활동이 불가능한 신문발송원으로 발령하는 조처를 취했다.

노조가 언론사내에 존재함에도 이같이 영남일보와 같은 사태가 반발, 노조가 존재치 않은 언론사의 상황은 불을 보듯 뻔한일이다.

이처럼 노조활동이 허용되지 않은 언론사의 편집권침해는 예상이 가능한 것이다.

이밖에 노조활동의 제약은 바로 기사로 그래도 반영되어 민생문제, 노동문제, 경제문제(예를들면 재벌의 땅투기문제)가 상당히 배제될수도 있다는 소지가 있다.

언론은 흔히 제4부라고 한다.

이는 독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올곧은 시각으로 사회를 비판, 견제하는 언론의 기능을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기능에 비추어 언론에 대한 재벌의 진출이 가시화 될수록 그 심각성은 더해갈것이다.

5·16, 유신, 5·17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태로 권력의 지배하에 놓여왔던 언론이 물적토대마저 재벌에 의해 잠식되어 간다면 「언론직필」「언론의 객관성」이라는 말은 단지 허구에 불과할 뿐인 것이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