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케는 「로댕론」의 첫구절을 이렇게 썼다.

“유명해지기 전에 로댕은 고독했었다.

그런데 어쩌면 그를 찾아온 명성은 그를 더욱 고독하게 만들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명성이란 궁극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이름을 둘러싸고 모여든 모든 오해의 총체일 뿐이기 때문이다.

” 이 말에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인물을 한 사람 더 찾는다면, 바로 니체(Friedrich Nietzche: 1844∼1900)이리라. 그는 살아있는 동안 외면 당하거나 비난 받았고 죽어서야 유명해졌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 찾아온 명성은 그를 고독하게 만든 정도가 아니라 오욕에 휩싸이게 했다.

그의 철학을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린 자들은 나찌주의자들이었기 때문이다.

니체에 대한 여러 가지 루머에도 불구하고(혹은 그 루머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의 저술을 탐독하고 그에게 관심을 갖는다.

이 관심은 참 독특하다.

플라톤이나 칸트의 저서를 읽으면서 그 철학자들의 삶을 궁금해하는 사람은 적다.

그러나 니체를 읽으면서 사람들은 니체의 삶을 궁금해한다.

그래서 우리는 니체의 전기를 찾아 읽게 되는데, 가장 널리 읽히는 책이 이보 프렌첼의 「니체」(강대석 옮김, 한길사)이다.

이 책은 적은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생애를 친절하게 서술하고 있다.

니체의 프로테스탄트적인 가정환경과 소년기에 대해, 그리고 천재로서의 번민, 루살로메와의 사랑, 바그너와의 우정, 말년의 정신질환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가 머물렀던 장소와 만났던 사람들에 대한 사진들이 실려 있어 니체의 삶을 한편의 영화처럼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니체의 삶이 흥미롭게 읽히는 것과 달리 니체의 철학에 다가가는 일은 쉽지 않다.

니체의 시적이면서도 독설적인 경구들에 우리는 쉽게 매료되지만 잠언적 이해를 넘어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원할 때 니체는 감당할 수 없이 난해해진다.

그래서 우리는 그에 대한 2차 문헌들을 뒤적이게 되지만, 이것들을 읽는 데에도 각오가 필요하다.

비교적 이해가 용이하고 체계화되어 있는 책들을 골라보자면 「니체의 몸철학」(김정현 지음, 지성의 샘)과 「니체 - 문학으로서의 삶」(네하마스 지음, 책세상)을 들 수 있다.

「니체의 몸철학」은 니체를 근대성(modernity)에 대한 비판가로서 소개하고 있다.

니체의 ‘몸’개념이 서양근대 사상에 나타난 이성 중심적 사유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으며 니체의 ‘니힐리즘’이 우리가 흔히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허무주의적 사유와는 어떻게 다른가를 잘 정리한 책이다.

책의 앞부분에 쓰인 니체 수용사를 참고한다면 니체 철학을 해석하는 여러가지 흐름들을 정리해볼 수도 있다.

네하마스의 책은 매우 성실하고 독창적인 니체 연구서이다.

니체철학에 대해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읽어 볼 만한 책이다.

이 책은 원근법주의(perspectivism), 비도덕적 금욕주의, 도덕의 계보학, 영겁회귀 등 니체철학의 핵심적 개념들을 설명하면서 니체철학을 생산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원근법주의가 상대주의의 딜레마에 빠지지 않는다는 저자의 논증을 읽다가 그만 포기하게 된다.

논리적 훈련의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게 이 부분은 지루하고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고비를 넘기고 계속 밑줄을 그으며 읽어나간다면 이 독서가 주는 열매들은 매우 풍성하다.

비도덕적 금욕주의에 대한 설명은 니체가 말한 몸에 대한 강조가 육체적 상품화하는 자본주의적 사유나 무분별한 향락적 사유와는 절대 혼동될 수 없는 것임을 가르쳐 준다.

또한 귀족도덕과 노예도덕의 구별을 통한 계보학적 논의가 귀족주의나 인종주의와는 완전히 무관하다는 점을 이해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동일한 것이 영원히 반복된다’는 것, 즉 영겁회귀 사상이 삶에 대한 얼마나 놀라운 긍정을 가져다 주는 것인지 체험하게 된다.

그러나 혼자서 읽기에 너무 자주 실패한 학생들이라면 니체에 대한 강연이나 강의를 들어보는 것도 좋다.

생각보다 니체의 철학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지금은 바야흐로 니체 르네상스니까.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