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라씨의 본교 입학·학사특혜 의혹은 사회적 공분을 샀다. 대학입시가 공교육 및 사교육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도가 높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부정입학’은 대다수 국민이 ‘내 일’처럼 느끼는 민감한 이슈이기 때문이다. 언론은 본교의 입학·학사비리 의혹이 중·고교생과 대학생, 취업준비생 ‘1020세대’의 분노를 폭발시켰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 시점에 필요한 선결적 과제는 무엇일까. 

 

△ 사회적 인식 개선하려면 … 관련자 징계 이뤄져야

  본교가 사회적 평판을 회복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는 학교 차원의 ‘관련자 징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화미디어센터-마크로밀엠브레인 여론조사에 따르면 성인(일반인) 응답자 300명은 언론에서 제시한 본교의 향후 해결방안 중 ‘이번 사태를 해결하고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유라 부정입학 관련자들을 엄중히 징계해야 한다’는 항목에 91.6%의 높은 동의도를 보였다. 10명 중 9명 이상이 사건 관련자 중징계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86.0%가 이에 동의했다. 

  이는 주요 일간지 사설·칼럼에 언급된 본교의 향후 해결방안을 분석해 항목별로 정리하고, 응답자에게 ‘전혀 그렇지 않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7점)’까지 동의하는 정도를 점수로 선택하도록 한 결과다. 관련자를 징계해야 한다는 언론의 보도내용에 구체적으로는 일반인 응답자 중 68%가 7점(매우 그렇다), 13.3%가 6점(그렇다), 10.3%가 5점(조금 그렇다)을 선택했다. 평균 점수는 6.37점에 달한다. 

  여론조사를 진행한 정은주 담당자는 “설문 결과를 분석해보니 부정입학 관련자를 엄중히 징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강한 사람들일수록 이화여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이대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즉, 뒤집어 말하면 이대가 대외 신뢰도와 평판을 회복하기 위해선 관련자 중징계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개연성이 확인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외부의 생각은 문제 해결방안을 직접적으로 묻는 질문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정유라 부정입학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이화여대가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문항에서 응답자들에게 1, 2순위를 선택하도록 한 결과, 일반인과 고등학생 모두 1순위로 ‘비리 관련 학교 관계자 중징계’를 선택했다. 다음으로 ‘투명한 입시 절차 마련’ ‘학교 운영 및 소통 시스템 대대적 개선’ ‘학교 자체 특별감사위원회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정태훈(21·남·서울 관악구)씨는 “입시비리 자체도 문제가 많지만 특히 총장이 직접 여기에 개입한다는 것은 자신의 위치를 악용한 일로 보인다”며 “해임 수준의 중징계를 내리는 게 이화가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는 방법이자 학생들이 일궈낸 결과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경희 전 총장을 비롯해 현재 구속 기소된 관계자 5인은 혐의를 부인하고 있으며, 본교는 이들을 직위해제한 상태다. 구체적인 징계 절차 및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다. 

  반면 본교가 문제 해결을 위해 충분히 노력하고 있다고 보는 응답자들은 적었다. 본교의 대응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인 ‘이화여대는 정유라 부정입학 사건과 관련해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와 ‘이화여대는 이번 사태를 해결하고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에 5점(조금 그렇다) 이상을 준 일반인 응답자는 각각 17.9%(3.14점), 21.6%(3.44점)에 불과했다.

  정 담당자는 “이대가 사건 관련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데 높이 동의할수록 이대를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분석됐다”면서 “학교당국이 사회적 인식 개선에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대처하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 투명한 입시절차 마련하라는 목소리 높아

  한편 응답자들은 정유라 부정입학 사건을 단순히 일부 교수들의 문제로 벌어진 일이라기보다는 조직적 차원의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슈와 관련된 언론보도 내용을 정리한 항목 중에서 ‘정유라 부정입학 사건은 이화여대 전 총장 및 교수 일부가 개인적 일탈로 저지른 비리이다’에 동의한 일반인 응답자는 43.0%(4.11점)인 데 비해, ‘이화여대는 정유라를 부정입학시키기 위해 학교와 교수가 모두 조직적으로 움직였다’에 동의한 응답자는 77.7%(5.53점)로 더 높았다. 특히 본교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응답자일수록 이번 사태가 본교의 조직문화와 운영방식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고 응답하면서, 구성원 개인보다도 조직과 구조에 문제를 제기했다.

  정유라 부정입학 사건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서는 ‘총장 및 일부 교직원들의 비리’를 1순위로 인식했고 다음으로 ‘대학에 대한 지나친 정부 영향력’ ‘대한민국 사회의 학벌주의’ ‘학교 운영 및 소통 시스템 문제’가 순서대로 꼽혔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이 본교에 바라는 해결방안도 ‘제도 개선’으로 향했다. 언론이 제시한 본교의 향후 해결책에 대해 일반인 응답자들은 ‘관련자 징계’(6.37점) 다음으로 ‘투명한 입시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6.27점), ‘진심어린 사과와 대책 발표를 해야 한다’(6.22점), ‘전체적인 조직문화 및 운영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6.13점) 순으로 높게 동의했다. 

  특히 투명한 입시 절차 마련해야 한다는 항목에 ‘그렇다’(5~7점)고 동의한 응답자 비율은 91.0%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관련자 징계’(91.6%)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의 신뢰도는 입시절차의 투명성 및 공정성과 직결되는 만큼, ‘비리대학’ 이미지를 극복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선 일부 교직원 징계에 그치지 않고 제도 개선을 통해 사태 재발을 원천봉쇄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전송미(25·여·서울 노원구) 씨는 “전 총장까지 ‘정유라 부정입학’ 사태에 연루됐다는 혐의를 받는 이상, 제도적, 절차적 차원에서 비리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 원천적인 해결방법”이라며 “입시 면접관이 어떠한 집단과도 결탁하지 못하게끔 면접관에 대한 감독 역시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