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약 1년이 지났다. 길거리를 가득 메웠던 노란 리본 물결과 추모 행렬은 줄어들었지만, 그 날의 참사는 우리에게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켰다. 본지 또한 단순히 안전 의식을 제고해야한다는 의식적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하는 안전이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4주에 걸친 ‘세월호 1년, 이제는 안전이화’ 연재를 기획했다.

  이번 주 본지가 주목한 안전이화 그 첫 번째 주제는 본교의 안전 교육 현황이다. 하지만 그 결과는 무척 실망스러웠다. 본교 총무처 총무팀은 매 학기 신입연구활동종사자와 정규연구활동종사자(실험·실습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지만, 해당 수업 교수에게 자율적으로 교육 불참에 관한 제재를 맡기는 등 안전 교육에 대한 강제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었다. 심지어 작년 2학기에는 교육 대상자의 반발이 심하다는 이유로 기존 불참자에게 주어지던 도서관 출입 및 대출 금지 제재를 없애기도 했다. 구성원의 안전보다 불편이 우선인 참 ‘이상한’ 제재 완화 조치다. 

  소방 교육훈련 또한 마찬가지다. 총무처 총무팀은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연 2회 진행되던 소방 교육훈련 횟수를 연 4회로 늘렸지만, 여전히 한계는 있다. 교내 구성원 모두가 필수적으로 참여해야한다는 조항이 마련돼 있지 않고, 가상 대피 훈련도 학과 수업이 진행되지 않거나 거의 없는 본관, 종합과학관 C동 등에서 진행되기 때문이다. 만약 유동인구가 많은 이화·포스코관, 학생문화관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면 학내 구성원들은 소화기가 어느 곳에 있는지, 비상구는 어디인지 알 도리가 없다.
     
  느슨한 본교의 안전 교육 행태는 수치상으로도 나타났다. 총무처 총무팀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1학기(2월~4월) 진행된 실험실 안전교육 수료율은 81.0%였지만 작년 2학기(8월~11월) 실시한 교육에선 64.7%로 16.3%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안전에 취약한 실험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특별안전교육은 재작년 8월 66.0%에서 작년 10월 47.1%로 18.9%포인트 떨어졌다. 세월호 참사 이후 오히려 수료율이 떨어진 것이다.

  이는 비단 미흡한 학교 제도만의 문제는 아니다. 안전 교육을 선택의 대상으로 삼는 본교 구성원의 인식부터 개선해야 한다.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고, 안전이화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학교와 학생의 긴밀한 안전 협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