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숙영 기자 jikkal@ewhain.net

<작품설명>
  ‘대’, ‘보’는 전통 여성복식의 옷고름을 형상화하는 동시에, 부드럽고 강하게 뻗어나가는 여성리더십을 상징한다. 학자의 자음자는 배울 학(?)자의 간체자를 이용해 배우는 공간이라는 대학의 의미를 강조했다. 또한 학자의 대나무와 같은 모음자는 언론매체가 가져야 할 곧은 신념을 상징한다. ‘이’자는 한자와 한글 사이에서 고민하다 전체적인 글자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한글을 선택했다.

-어떻게 참여하게 됐나
  ECC 등 학교 건물 곳곳에서 캘리그라피 공모전 포스터를 접하긴 했지만 처음에는 참가할 생각이 없었다. 그런데 현재 활동 중인 서예 중앙동아리 이향회 친구들이 나가보라고 권유해줘서 하게 됐다. 막상 상을 타게 될 줄은 몰랐기 때문에 얼떨떨하기도 하다.
 
-원래 캘리그라피에 관심이 있었나
  어렸을 때부터 책이나 시 읽는 것을 좋아해 내가 읽은 걸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캘리그라피를 발견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시작해서 평소에 마음에 드는 글귀가 있으면 써보는 정도의 취미로 즐겼다. 따로 배운 적은 없지만 중앙 서예 동아리에서 서예 연습을 했던 것이 은연 중 도움이 된 것 같다.

-대상을 타게 된 소감은
  지금까지 혼자 써보기만 했지 많은 사람들한테 내 캘리그라피를 보여준 적은 없었다. 첫 기회에 이렇게 큰 상을 타고 전문가의 호평도 받으니 기쁘기도 하고 앞으로 더 좋은 캘리그라피를 쓰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보통 사람들은 영문이나 펜으로 쓰는 캘리그라피를 많이 떠올리는데 묵과 화선지를 이용해서도 멋있는 캘리그라피를 쓸 수 있다는 것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