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단체 "기숙사, 주민 생존권 위협하고 환경오염 일으켜" vs 학교 "적법한 절차 거친 친환경 건물"

▲ 9월17일 본교 후문에서 인근 주민일동이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시위를 했다. 김가연 기자 ihappyplus@ewhain.net

  신축 기숙사를 두고 본교와 일부 지역 단체 간 갑론을박이 두 달째 이어지고 있다. 재학생 주거권 보장 및 복지 증진을 위해 신축 기숙사 건설은 불가피하다는 본교 측 입장과 신축 기숙사 건설이 주변 임대 상권을 위축시키고 북아현동 일대 환경을 훼손시킨다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지는 신축 기숙사 건설을 둘러싼 갈등의 원인 및 일부 지역 단체의 주장, 이를 반박하는 본교의 입장을 들어봤다.

△재학생 수용률 약 20% 선으로 끌어올린 신축 기숙사…지역 단체들은 반발

  논란의 중심은 2016년 2월 완공 예정인 본교 신축 기숙사다. 기숙사는 북아현동 1-11번지 일대 약 3만1000㎡ 면적의 부지에 지하2층~지상5층 건물 4개동과 지하4층~지상5층 1개동, 지하1층~지상1층 부속동 6개 동으로 신축될 예정이다. 전체 연면적(건축물의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은 현재 본교 한우리집 기숙사 면적의 약 3.3배에 달하며 재학생 2344명을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본교 신축 기숙사 건설에 반기를 들고 있다. 지역사회 단체인 ▲안산 살리기 운동본부(가칭) ▲자연경관보존위원회(가칭) ▲연대·이대 기숙사건립대책위원회(가칭) 등은 임대업자 생존권 보장, 주변상권 위축, 환경훼손 등의 근거를 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지난 9월16일 본교 후문 시위를 시작으로, 시위 1회당 최소 약 50~100명의 인원이 모여 일주일 에 평균 2회 씩 시위를 하고 있다.

△일부 지역 단체 “생존권 위협 뿐 아니라 환경오염까지 우려돼”

  일부 지역사회 단체는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근거로 임대업자들의 생존권 위협을 들고 있다. 본교 기숙사 신축으로 인해 신촌 부근 자취방, 하숙방 등의 공실률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학내에 여러 편의시설이 들어서면 학생들의 외부 출입이 줄어들어 학교 앞 점포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연대·이대 기숙사건립대책위원회의 이재복 위원장은 지난 10월16일 라디오 프로그램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화여대 정문 입구나 연세대 정문 입구 상권은 몇 년 전 부터 이미 죽어가고 있다”며 “이화여대 기숙사가 신축돼 학생들을 추가로 수용하면 학교 앞 임대업 공실이 더욱 늘어나고, 집값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역단체들은 기숙사 신축 반대의 또 다른 근거로 ‘환경오염’을 제시하고 있다. 자연경관보존위원회는 배포자료를 통해 비오톱 1등급 지역이었던 북아현동 일대의 수목이 기숙사 신축으로 훼손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약 1000t 가량 늘어날 위험이 있을뿐더러 잣나무, 청설모 등의 동·식물이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오톱이란 특정 식물 및 동물이 모여 사는 생물 서식지를 일컫는 용어로, 비오톱 1등급 지역으로 분류되면 해당 지역 전체에 대한 절대적 보전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교 신축 기숙사 부지는 건축물 설립이 가능한 개별 비오톱 2등급으로 하향 조정된 곳이다. 2010년 서울시에 의해 본교 기숙사 신축 부지는 비오톱 개별 1등급으로 지정됐으나 서울시는 서울 소재 대학 생태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등급과 실제 토지 현황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 재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작년 5월 서울 소재 대학 내 토지의 비오톱 등급을 전면 재조정했고 이 과정에서 본교 신축 기숙사 부지도 재조정 된 것이다.
 
  본교 기숙사 신축 현장 업무를 담당하는 재무처 시설팀 관계자는 “비오톱 등급 조정은 본교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이 아닐 뿐더러 실제 본교는 작년 서울시도시계획위원회에서 배치, 환경 등의 사항을 4차례 심의 끝에야 승인 받았고 올해 7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청에서 기숙사 건축을 허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본교, “기숙사는 학생 주거권 보장 위함, 친환경 가치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본교는 학생들의 주거권을 보장을 위해 기숙사 신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교 기숙사 수용률(약 8.4%)은 서울 시내 대학 기숙사 수용률 평균인 약 18.3%(작년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신축 기숙사가 완공되면 기존 한우리집 기숙사 수용 능력인 약 1700명을 합쳐 약 4000명의 재학생이 기숙사에 거주할 수 있게 되면서 본교 기숙사 수용률이 약 20% 수준으로 높아진다. 본교 건축 신증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재무처 시설팀 이종원 팀장은 “본교는 재학생 기숙사 수용률이 타 대학에 비해 낮아 많은 지방 학생들이 학교 외부에 거주하고 있다”며 “학교 측에서 기숙사를 완공하게 되면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공간에서 학습권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재무처는 올해 5월 인허가 과정에서 「이화여자대학교 기숙사 신관 증축공사 환경보전방안검토서」(환경검토서)를 발간해 신축 기숙사가 환경적 측면에 미칠 영향을 사전에 예측, 분석했으며 서울시와 협의를 완료했다. 재무처 환경검토서에 따르면, 본교는 신축 기숙사 건설로 인해 일시적으로 동물의 거주 공간 침해, 수목훼손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 마련 또한 철저하게 진행해왔다. 본교는 기숙사 건설로 훼손되는 수목에 관해서는 이식 가능한 수목 108그루를 산정해 공사 완료 이후 해당 녹지에 다시 이식할 예정이다. 또한 약 3만 주의 관목과 530주의 교목을 추가로 심어 훼손되는 녹지의 50% 이상을 복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재무처 시설팀 관계자는 “지속적인 현장관리를 통해 기숙사 신축이 환경에 무리가 가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대안책을 고민하며 기숙사 신축이 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숙사 신축 건을 둘러싼 본교와 지역 사회 단체의 갈등에 학생들은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정문 앞에서 자취를 하는 장재연(수교·12)씨는 “학생들은 보통 학교 바깥에서 자취나 하숙을 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접근성이 좋은 학교 안에 사는 것을 선호한다”며 “기숙사 신축을 반대하는 측에서도 학생들의 사정을 좀 더 고려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성민(영문·13)씨 또한 “우리 학교 기숙사 문제가 매체 등에서 너무 자극적으로 다뤄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학교와 주민 간의 갈등이 빨리 해결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역단체>

<본교>

기숙사 부지 산림훼손 막아야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 1000그루가 넘는 나무가 훼손됨. 자연녹지를 시멘트로 덮는 것은 3만 평의 숲을 오염원으로 만드는 것.

수목 복원, 옥상녹화로 산림 유지할 것

제거된 1,196그루의 교목은 기숙사 완공 이후 618그루로 복원(51.7% 복원)할 예정. 옥상녹화로 외부 경관을 개선시키고, 빗물저류시설(그린블루루프, Green blue Roof)를 통해 식물의 지속적인 생육을 친환경적으로 지원 할 계획.

기숙사 건립되면 온실가스 배출량 늘어날 것

이산화탄소를 흡수, 저장해온 북아현 일대 녹지가 사리지면서, 온실가스 저감 기능이 방출 기능으로 바뀌어 대기 중에 축적되는 온실 가스가 늘어날 것.

 

신재생에너지로 온실가스 발생 최소화

기숙사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의 15%를 신재생 에너지(지열 7.5%, 태양광 7.5%)로 사용할 예정. 전체 조명기구 중 87.85%LED 조명기구로 적용해 예상 발생 온실가스 860.44톤 중 708.09톤을 감소시킬 예정.

 

 

동물 개체 수 감소한다

기숙사 신축으로 노린재목, 매미목 등 숲에 살던 동물들은 멸종되거나 삶의 터전을 옮겨야 하는 문제가 나타남.

생물 서식 공간 조성할 것

·돌무더기, 인공새집 등을 만들어 소형 동물에게 먹이원 및 서식처를 제공할 계획. 청설모, 호랑나비 등의 종들이 기숙사 신축 후에도 재유입하여 서식할 수 있도록 생물 서식 공간 557.44를 조성할 것.

인근 주민들의 사생활 침해한다

병풍처럼 마을을 둘러싼 신축 기숙사로 인해 주민들의 사생활이 보장되지 않으며, 기숙사에서 나오는 불빛으로 수면권을 침해당할 가능성이 있음.

기밀성 최우수 등급으로 관리 예정

·교목 위주의 키 큰 나무를 기숙사 주변에 식재하고, 선팅, 핸들형 창문 설치 등으로 주민들의 사생활 침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