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바닥 곳곳에 사람들의 발에 밟히고 눌려 까맣게 들러붙은 껌을 화판 삼아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있다. 본교 기초교양수업 ‘나눔 리더십’ 시간에 만난 7명의 새내기, ‘껌뱉지말아조’ 팀은 본교 앞거리에 지저분하게 붙어 있는 껌딱지 위에 병아리, 꽃다발 등 알록달록한 그림을 수놓았다. 얼핏 들어서는 이게 어떤 그림인지 상상이 되지 않지만 무심코 지나던 아스팔트 바닥에 그려진 껌그림을 직접 발견하면 무릎을 탁 치게 된다. 나눔 리더십 수업에서 만나 이 활동을 시작했다는 이들은 지역공동체를 위한 나눔에 대해 고민하다가 껌그림을 그리게 됐다.

  본교 정문에서 이대역 앞으로 이어지는 거리 위에는 껌뱉지말아조 팀이 그린 껌그림 약 100개가 자리하고 있다. 동전 크기의 작은 껌 위에 그린 그림은 상상 이상으로 다채롭다.

  이들은 정해진 주제 없이 작은 껌을 도화지 삼아 자신들이 그리고 싶은 그림을 자유롭게 그린다. 김태경(국제사무·14)씨는 본교 정문에서 여자 친구를 기다리는 연인들이 많다는 점에서 착안해 작은 껌 위에 사랑하는 커플의 얼굴을 담았다. 만화영화 ‘겨울왕국’의 캐릭터 ‘올라프’를 좋아하는 고아라(성악·14)씨는 활짝 웃는 올라프의 모습을 껌 위에 그렸다. 권기림(의류·14)씨는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마음으로 껌 위에 노란리본을 그렸다.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은 없지만, 이들이 땡볕 아래서도 즐겁게 그려낸 껌그림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낸다.

  껌그림 활동을 하는 것은 껌뱉지말아조 팀뿐만이 아니다. 교내 캠퍼스에도 이러한 껌그림을 그린 사람들이 있다. 교내의 껌그림들은 또 다른 나눔 리더십 수업의 활동 팀인 ‘아스팔트 껌딱지(아트껌)’ 팀 학생들과 국내에서 껌그림을 전문적으로 맡아 진행하는 비영리단체 ‘껌그림’ 김형철 대표의 합동 작품이다. 아트껌 팀과 김 대표는 6월8일 ECC 11번 출구 앞바닥에 고양이, 새 등 귀여운 동물을 그린 후 약 2주 후인 6월20일 껌그림을 제거했다. 이들은 아트껌 팀의 노은비(서양화·14)씨가 김 대표가 운영하는 페이스북(facebook) ‘껌그림’ 페이지에 글을 남긴 것을 계기로 함께 활동하게 됐다. 이들은 ‘껌 뱉지 말아요’라고 적힌 푯말을 학생들이 자주 다니는 길목에 걸어두기도 했다.

  바닥에 버려진 껌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골칫거리다. 딱 달라붙어 있어 일일이 제거하기도 어렵고 제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서울시도 지난 2010년 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대대적인 껌 제거 작업을 위해 미화원 약 3000명을 동원했다. 이렇게 제거 활동을 펼쳐왔지만 서울시내 바닥에는 여전히 지저분한 껌들이 가득하다.

  도시의 흉물이 된 껌 위에 아기자기한 그림을 그려 골칫거리 껌을 예술로 만드는 껌그림 활동은 영국의 거리예술가 벤 윌슨(Ben Wilson)이 2004년 처음 시작했다. 그는 자신만의 자유로운 캔버스를 찾던 중 껌을 그 캔버스로 삼겠다는 아이디어에서 껌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동전 크기 정도의 작은 껌 위에 동물부터 영국의 도시 풍경까지 다양한 그림을 담아 페이스북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화제가 됐다.

  우리나라에서는 비영리단체 ‘껌그림’의 김형철 대표가 2006년 처음 활동을 시작했다가 2012년부터 본격적인 캠페인으로 확장시켰다. 김 대표는 2006년 ‘버려지는 이기심’이라는 주제로 껌그림 캠페인을 시작해 현재는 껌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이기심에 의해 버려지는 존재인 유기동물을 껌 위에 그리고 있다.

  껌뱉지말아조 팀은 껌그림을 통해 공유하는 공간인 ‘길거리’의 의미를 알리고자 했다. 껌뱉지말아조 팀의 이나영(언홍영·14)씨는 “길거리는 누군가에게는 그냥 한 번 지나가는 길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생계를 위한 공간인 공동의 공간”이라며 “땡볕 아래에서 그림을 그리는 일이 힘들었지만 거리를 지나는 행인들, 거리 위의 상인과 함께 그림을 그리며 길거리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이 뿌듯하고 즐거웠다”고 말했다.

  이러한 껌그림 활동에 대해 본교생들을 비롯한 지역 주민들은 긍정적인 반응이다. 이지원(방송영상·12)씨는 “껌그림을 발견하고 예뻐서 사진을 찍어서 SNS에 공유하기도 했다”며 “항상 눈에 밟히던 거무스름한 껌들이 이렇게 알록달록하게 변한 것을 보니 신기하고 껌그림 캠페인에도 관심을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임지영(행정·12)씨는 “껌그림이 바닥에 붙어 있어 쉽게 눈에 들어오지는 않지만 한 번 보기 시작하면 바닥에서 쉽게 눈을 뗄 수 없다”고 말했다.

  껌그림 활동이 비영리 활동이다 보니 김 대표는 활동에 필요한 금액을 사비로 충당해왔지만 최근에는 소셜 펀딩을 통해 모금을 하거나 후원을 해주겠다는 단체도 생겼다. 껌뱉지말아조 팀은 수업시간의 활동으로 이 활동을 시작했는데, 이들 역시 사비로 껌그림의 제작비용을 충당했다. 처음에는 팀원 7명만 껌그림을 그렸지만 이들의 모습을 보고 지나가던 행인이나 외국인 관광객도 관심을 가지고 함께 참여해 점차 그 규모가 커졌다.

  껌그림 활동은 단순히 껌 위에 그림을 그리는 일회성 활동으로 끝나지 않는다. 껌그림은 지나는 사람들의 발에 밟히고 치여 쉽게 더러워지는데 이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와 보수가 필요하다. 껌그림 캠페인을 진행하는 김 대표는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주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껌그림을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김 대표와 껌뱉지말아조 팀 등 껌그림 캠페인을 하는 사람들은 껌그림을 그리는 활동을 한 후 일정 간격으로 보수 작업을 해주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껌그림을 제거하는 활동을 한다. 이렇게 제거된 껌그림은 개인이 원하는 경우 가져가기도 하고 김 대표가 가져가 액자로 제작하기도 한다. 그는 이러한 껌그림과 캠페인에 참여한 사람들의 사진을 전시하는 ‘껌그림 전시전’을 준비 중이다. 본교의 껌뱉지말아조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은 나눔리더십 수업이 끝나 활동 기간이 끝났지만 자신들이 직접 그린 껌그림을 제거하는 작업을 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개인적으로 시작한 캠페인이지만 이 활동이 널리 전달돼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나아가 세상을 바꿀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대학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